본문 바로가기
식물

작약(작약과) : Peony

by 킹버들 2025. 5. 24.
반응형

국명 : 작약
영문명 : Peony
일본명 : シャクヤク
학명 : Paeonia lactiflora Pall.
비고 : 특별산림보호대상종

수줍음, 부끄러움, 교태

- 작약 꽃말 -


작약은 높이 50~80cm까지 자라는 작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깊은 산 속 수림 밑에서 자생하는데 민가에 많이 식재되기도 한다.
세계적으로는 중국, 일본, 러시아, 몽골, 시베리아 등에서 분포한다.

작약은 주로 추운 지방보다는 따뜻한 지방에서 잘자라며, 햇빛이 잘 들고 통풍이 좋은 비옥한 점질양토 또는 식양토에서 잘 자란다.

작약의 번식은 종자와 분주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종자 번식은 시간이 오래 걸리므로 주로 9월 하순~10월 중순에 분주법을 이용하여 싹눈 2~3개를 붙여 심으며, 작약은 연작을 싫어하기에 한번 심고 수확한 곳은 다른 작물로 3~4년간 교체해서 심는 것이 좋다.

작약의 뿌리는 약용으로 사용되며, 종자는 목단의 접목용 대목으로 사용된다. 수확 후에는 햇볕에 말리는데, 비에 젖거나 녹슨 쇠붙이로 껍질을 제거하면 품질이 떨어진다.

작약에 비해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것을 '호작약', 씨방에 털이 밀생하는 것을 '참작약'이라고 한다.

작약은 함지박처럼 꽃이 크고 예뻐 '함박꽃'이라고도 불린다.


□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한반도의생물다양성, 농사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