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물분류기사 식물14 선밀나물(청미래덩굴과) : White back greenbrier 국명 : 선밀나물 영문명 : White back greenbrier 일본명 : タチシオデ 학명 : Smilax nipponica Miq.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장수, 다시찾은 행복- 선밀나물 꽃말 -선밀나물은 청미래덩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전국 산지의 숲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친구이다. 선밀나물은 키가 큰 친구는 덩굴손이 달리기도 하지만 주변에서는 보통 키가 작은 친구들이 보이고 덩굴손이 없다.때문에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에서는 덩굴손이 있다고 서술되어 있지만 생물분류기사(식물) 실기책에서는 덩굴손이 없다고 서술되어 있다.선밀나물은 청미래덩굴, 청가시덩굴, 밀나물 등과 유사종이 있으며, 잎이 좁은 변종인 좁은잎밀나물도 있다. □ 특징(국가생물종지.. 2025. 3. 6. 둥근매듭풀(콩과) 국명 : 둥근매듭풀 학명 : Kummerowia stipulacea (Maxim.) Makino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 둥근 매듭풀 꽃말 - 둥근매듭풀은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산야의 모래자갈땅에서 만나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러시아 극동부, 일본 등에도 분포하는데 북아메리카에도 귀화해서 살고 있다고 한다. 매듭풀과 마찬가지로 둥근매듭풀 역시 약용자원으로 잠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생물자원으로 해외반출에 관리가 필요한 친구이다. 실제로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서 자생하고 있는 둥근매듭풀의 추출물에서 항노화 피부 항노화 효능을 확인하여 화장품산업에서의 활용가치를 확인하였다. 둥근매듭풀의 잎은 장상3출엽이다. 각 소엽은 넓은 타원형이.. 2025. 1. 17. 매듭풀(콩과) 국명 : 매듭풀 학명 :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우정- 매듭풀 꽃말 - 매듭풀은 콩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전국 각처의 산과 들, 길가에서 만나볼 수 있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타이완, 러시아, 일본 등에도 분포하는데 북아메리카에도 귀화해서 살고 있다고 한다. 매듭풀은 약용자원으로 잠재적 가치가 매우 높은 생물자원으로 해외반출에 관리가 필요한 친구이다. 매듭풀은 잎이 어긋나기하며 3출엽이다. 각 소엽은 둥글고 선명한 잎맥을 가졌으며, 잎 가장자리에는 털이 없다. 가지에는 짧은 털이 하향으로 자라며, 턱잎은 흔히 연한 갈색으로 피침형이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가지는 줄기에 비해 가늘게.. 2025. 1. 17. 석위(고란초과) 국명 : 석위학명 : Pyrrosia lingua (Thunb.) Farw.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긴장- 석위 꽃말 -2025년 1월 서천국립생태원석위는 상록성 양치식물로 오래된 나무나 바위 위에서 자라는 친구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 중국, 대만, 인도차이나 등에도 분포하고 있다.높이는 13~30cm까지 자란다.엽병은 길이 6~20cm이며, 기부의 인편은 피침형으로 갈색이며 길이 2.5~5mm이다.엽신은 광피침형으로 길이 8.5~22cm까지 자라며 너비는 2~7cm이다.잎 뒷면에는 회갈색의 밀포된 성상모가 있다.포자낭군운 원형으로 중륵을 제외한 잎 전체에 서로 근접해 붙고 포막이 없다.뿌리줄기는 다른 곳에 붙어 자라기 위해 땅 위로 뻗는다.'석위'라는.. 2025. 1. 15. 돈나무(돈나무과) 국명 : 돈나무학명 : Pittosporum tobira (Thunb.) W.T.Aiton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꿈속의 사랑, 자애, 편애- 돈나무 꽃말 -2024년 10월 대구광역시킹버들의 버드나무왕국에서 이번에 소개할 친구는 '돈나무'이다. '금전수'라는 친구도 돈나무라는 이름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금전수'는 집안으로 돈을 부른다는 의미로 돈나무라는 이름이 붙은 반면에 이번에 소개할 돈나무라는 친구는 전체적으로 고약한 냄새나고 열매는 끈적끈적하고 달콤한 액체를 분비해서 똥처럼 파리가 꼬인다 하여 제주도에서 똥낭이, 똥나무라 부르던 것이 발음이 와전되면서 '돈나무'라고 불리게 되었다. 아무튼 돈나무는 돈나무과의 상록활엽관목으로 우리나라 남해 섬지역, 제주도.. 2024. 12. 6. 굴거리나무(굴거리나무과) 국명 : 굴거리나무학명 : Daphniphyllum macropodum Miq.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내 사랑 나의 품에,양도, 세대교체, 회춘, 신생- 굴거리나무 꽃말 -2024년 11월 대구수목원이번에 킹버들의 버드나무왕국에서 소개할 친구는 굴거리나무이다.굴거리나무는 굴거리나무과의 상록 활엽 교목으로 높이 10m까지 자라는 친구이다.우리나라에서는 전라도, 제주도, 울릉도 등에서 만날 수 있으며, 건조한 곳은 싫어한다고 한다.이 친구는 생장이 늦고 맹아력이 약하다고 하며,전라북도 정읍시 내장산에는 학술연구자원을 위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굴거리나무 군락이 있다.참고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하더라도 그 대상이 죽거나 위치가 바뀐다거나 하면 천연기념물에서 해.. 2024. 11. 3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