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부3

다이아몬드 원석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다이아몬드 광산에서 온 다이아몬드 원석 핸드폰 카메라로 찍은거라 다이아몬드의 맛이 잘안사는데저걸 실제로 보면 우와!!!!!한다.나도 그랬다. 다이아몬드는 지하 160km보다 더 깊은 곳에서 생성되는데에베레스트 산의 높이가 8.8km인 걸 생각하면정말 어마어마한 깊이이다.이런 깊은 곳에 있는 다이아몬드가 우리에게 발견이 될 수 있는 원인은 무엇일까?지하 깊은 곳에서 어마어마한 힘으로 솟아오르는 것바로 마그마의 힘이다.마그마가 솟아오르면서 다이아몬드가 위로 밀려나게 되었고그것이 우리에게 관찰이 된 것이다.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딱 한번 다이아몬드 원석이 발견되었는데그 곳은 두만강이다.그래서 우리나라가 출처인지 중국이 출처인지 모른다고 한다.세계적으로 유명한 다이아몬드 광산은 남아공과 캐나다가.. 2025. 3. 8.
산림유존목이란 무엇일까 우리는 일반적으로 크고 오래된 나무를 보면 보통 노목, 거목, 노거수 등으로 지칭한다. 이런 거대한 큰 나무는 천연기념물이나 보호수, 노거수 등으로 지정하고 보호하기도 하고 우리의 생활권에서 익숙하게 볼 수 있다. 하지만 산림에서 크고 오래된 나무는 "산림유존목"이라 하는데 보통 익숙하지 않을 것이다. 노거수, 천연기념물은 생활권에서 인간과 다양한 유대관계를 맺고 오랜 세월 동안 문화 가치를 주요 반영된 것이라면, 산림유존목은 오랜 자연 과정에 의해 생물다양성과 생태 가치가 발생한 것으로 이 둘의 차이는 분명하다. 산림유존목의 정확한 정의는 무엇일까? 산림유존목에 대한 정의는 생육 환경 조건과 생태계에 따라 다르지만 북미, 유럽에서는 크고 오래된 나무를 "Big trees" 또는 "Ancient.. 2025. 1. 16.
독성식물 중독설 - 공룡 대멸종의 하나의 원인? 독성식물이 공룡 대멸종의 원인?? 국립수목원에서 발간한 독성식물에 대한 간행물을 읽다가 재미난 내용을 발견했다. 바로 공룡 대멸종의 원인 중 하나로 독성식물의 등장으로 꼽히는 것이다. 공룡이 멸종한 것으로 운석 충돌설, 화산활동설, 기온저하설 등은 한 번쯤 들어봤는데 이런 사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보는 것이 일반적인 관점이다.그런데 여기에 추가되는 원인으로 '피자식물(알칼로이드) 중독설' 혹은 '독성식물 중독설'(D.A.Russell., 1971)도 등장한 것이다. 참고로 '알칼로이드(alkaloid)'란 질소 일부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외부로부터의 공격에 방어하기 위해 식물이 만들어낸 물질이다. 식물은 움직이지 않고 가만히 그 자리에서 살아가는 생명체로 움직이지 못하기 때문에 먹이사슬의 최하위에 .. 2025. 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