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태계교란 생물10 겨울의 환삼덩굴(삼과) : Wild hop 국명 : 환삼덩굴영문명 : Wild hop일본명 : カナムグラ학명 : Humulus scandens (Lour.) Merr.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엄마의 손, 힘센 사람- 환삼덩굴 꽃말 -환삼덩굴은 삼과의 덩굴성한해살이풀로 전국 각처의 들이나 빈터, 히천변 등 여기저기에서 살아가고 있는 친구이다.이 친구는 외래식물이 아닌 자생종인데 2019년에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환삼덩굴이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사유는 가시박처럼 주변의 다른 식물(나무)를 고사시키고 생태계를 교란한다는 이유이다.솔직히 나는 이해가 가지 않는 이유이다.그럴거먼 칡도 지정하든가!아래에 이창석 교수님이 작성한 칼럼도 한번 읽어보시길 [기고] 생태계 교란.. 2025. 3. 15. 가시상추(국화과) 로제트 : Prickly lecttuce 국명 : 가시상추영문명 : Prickly lecttuce 일본명 : トゲチシヤ학명 : Lactuca serriola L.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귀화식물 야성미- 가시상추 꽃말 -로제트의 모양이 특징적이라 구분이 쉬운 친구들이 있는데가시상추도 그 중 하나이다.왜냐하면 가시상추 잎의 가장자리에는 작은 가시가 줄지어 배열되며, 뒷면 주맥 위에도 가시가 열지어 배열되어 있어 구분이 쉽기 때문이다.그리고 굳이 잎을 뒤집어 가시를 보지 않아도보다보면 눈에 익어서 가시상추는 딱 티가 난다.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2025. 2. 25. 가시상추(국화과) : Prickly lecttuce 국명 : 가시상추 영문명 : Prickly lecttuce 일본명 : トゲチシヤ 학명 : Lactuca serriola L. 비고 : 귀화식물, 생태계교란 생물 야성미- 가시상추 꽃말 -일생이 얼마 남지 않은 가시상추마지막 그 순간까지 꽃을 활짝 피운 모습이 아름다웠다. 2025. 2. 18. 서양금혼초(국화과) : Spotted cat's-ear 국명 : 서양금혼초영문명 : Spotted cat's-ear 일본명 : プタナ학명 : Hypochaeris radicata L.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귀화식물마지막 사랑, 나의 사랑을 드릴게요- 서양금혼초 꽃말 -서양금혼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서해안과 남부지방에 분포하고 있다.서양금혼초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서양, 즉 유럽이 원샌지이며, 1992년 이전에 우리나라로 귀화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그리고 2009년에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서양금혼초가 뿌리줄기를 통해 생장하는 곳은 다른 식물의 침입이 어렵게 만들어 생물다양성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서양금혼초는 외형적으로 서양민들레와 유사하게 생겼는데 간단하게 구별할 수 있는 몇가지 차이점이 있다.첫번째, 서양금혼초의 로제트 잎.. 2025. 2. 8. 돼지풀(국화과) : Common Ragweed 국명 : 돼지풀 영문명 : Common Ragweed, hogweed 학명 : Ambrosia artemisiifolia L. 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귀화식물행복한 연애- 돼지풀 꽃말 -돼지풀은 우리나라 전국 각처에 분포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산기슭이나 빈터에서 흔하게 생육한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돼지풀이란 이름은 영명의 hogweed에서 온 이름이며 화분병을 일으키는 가장 악질종으로 알려져 있고 소가 먹지 않는다. 하지만 정~먹을 식물이 없으면 돼지풀을 먹기도 하는데 이는 메스꺼움을 유발하고 우유의 풍미를 변화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 돼지풀은 한국전쟁을 계기로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995년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기록되었다. 돼지풀은.. 2025. 2. 7. 겨울의 가시박(박과) : Star Cucumber 국명 : 가시박영문명 : Star Cucumber 학명 : Sicyos angulatus L.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귀화식물혐오스러운 자, 미움 받는 자- 가시박 꽃말 - 2025. 2. 6.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