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티스토리챌린지19 구절초(국화과) 국명 : 국명학명 : Dendranthema zawadskii (Herbich) Tzvelev var. latiloba (Maxim.) Kitam.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감사, 소중한 생각, 조용한 기쁨- 구절초 꽃말 -2024년 10월 경상북도 포항시이번에 킹버들의 버드나무왕국에 소개될 친구는 '구절초'이다.구절초는 국화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9~11월에 흰색 또는 연보라색의 꽃을 피우는 친구이다.구절초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지에서 흔히 볼 수 있다.'구절초'라는 이름은 어디서 왔을까구절초라는 이름은 9번 꺽이는 풀 또는 음력 9월 9일에 꺾는 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이는 5월 단오에는 줄기가 5마디가 되고 음력 9월 9일에는 9마디가 되는데 이때 .. 2024. 11. 27. 나도송이풀(열당과) 국명 : 나도송이풀학명 : Phtheirospermum japonicum (Thunb.) Kanitz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욕심- 나도송이풀 꽃말 -2024년 10월 경상북도 안동시 이번에 킹버들의 버드나무왕국에 소개될 친구는 나도송이풀이다.나도송이풀은 열당과에 속하는 반기생 일년생식물로 산야의 양지쪽 풀밭에서 만날 수 있는 친구이다.'반기생식물'은 또 뭘까?'반기생식물'이란 광합성을 할 수 있는 녹색 잎이 있지만 뿌리는 다른 식물체의 뿌리와 연결되어 영양분과 물을 공급받는 식물을 말한다.나도송이풀은 전체에 털이 있으며,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러시아, 일본에도 분포한다.누군가는 또잉?나도송이풀은 현삼과 아녀?라고 할 수 있다.나도송이풀은 Engler .. 2024. 11. 26. 까치박달(자작나무과) 국명 : 까치박달학명 : Carpinus cordata Blume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견고, 인내- 까치박달 꽃말 -2024년 9월 경상북도 포항시경상북도 포항시 어느 산 계곡에서 까치박달을 만났다.까치박달은 자작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양지나 음지를 가리지 않으나 다습한 곳을 좋아하는 친구이다.때문에 까치박달은 우리나라 산 계곡가에서 싑게 만날 수 있는 친구이다.까치박달은 재미있는게 '박달'이라는 말이 이름에 들어가 있지만 박달나무 종류가 아닌 서어나무 종류이다.박달나무처럼 목재가 단단해서 '작다'라는 의미를 가진 '까치'를 붙여서 까치박달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까치박달의 수피는 회색으로 세로로 조금씩 벌어져 무늬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잎은 밑.. 2024. 11. 25. 애기나리(콜치카과) 국명 : 애기나리학명 : Disporum smilacinum A.Gray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깨끗한 마음- 애기나리 꽃말 -2024년 4월 경상북도 경주시이번에 킹버들의 버드나무 왕국에 소개될 친구는콜치카과의 애기나리이다.???: 뭐?애기나리가 무슨 콜치카과야 백합과지!라고 할 수도 있다.식물에는 분류체계가 2가지가 존재하는데하나는 형태적인 특징으로 분류를 한 Engler 분류체계,또 다른 하나는 최근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생겨난 DNA분석으로 분류한 APG 분류체계가 있다.애기나리는 Engler분류체계로 구분하면 백합과에 속하지만APG 분류체계로 구분하면 콜치카과에 속하는 친구이다.앞으로 킹버들 또한 최신 트랜드를 반영하여 APG 체계를 따르려 한다.애기나.. 2024. 11. 24. 용담(용담과) 국명 : 용담학명 : Gentiana scabra Bunge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애수, 정의, 성실,당신이 슬플 때 더 사랑을 느낀다- 용담 꽃말 -2024년 11월 경상북도 포항시소나무재선충병으로 죽은 소나무를 벌목해서 거의 민둥산이 되어버린 어느 산에서 용담을 만났다.용담은 우리나라 전국 산야에서 만날 수 있는 용담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고산에서 생육한다고 하며, 가을이 시작되는 입추 8~10월에 개화를 한다.이녀석은 해안가 근처의 낮은 산에서 만났는데 아마 주변에 경작지에서 퍼져나간 것으로 생각된다.용담은 어린 싹과 잎은 식용하고, 뿌리를 용담이라고 하는데 이는 고미건조제로 사용한다.이렇게 약재로 이용하는 뿌리에서는 강한 쓴맛이 나는데 그 정.. 2024. 11. 23. 산박하(꿀풀과) 국명 : 산박하학명 : Isodon inflexus (Thunb.) Kudô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동정심, 배려, 연민, 추억- 산박하 꽃말 -2024년 10월 경상북도 안동시 2024. 11. 2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