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가지과8 꽈리(가지과) : Chinese-lantern 국명 : 꽈리 영문명 : Chinese-lantern 일본명 : ホオズキ 학명 : Alkekengi officinarum Moench 비고 : 재배식물 수줍음, 조용한 미, 약함- 꽈리 꽃말 -꽈리는 가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에서는 집 마을 빈터, 산비탈 길가, 풀밭에서 자생하거나 재배되기도 하는 친구이다.해외에서는 일본, 만주, 중국 등에 분포하고 있다. 특징- 높이 40~90c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지만(호생) 한 군데에서 2개씩 나온다.- 잎은 넓은 난형으로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바퀴 모양의 약단 누른 빛의 꽃은 6~7월에 잎 사이에서 1개씩 피며, 지름은 약 1.5cm 정도이다.- 꽃이 진 후 꽃받침은 길이 4~5cm 정도로 자라며 열매를 감싼다.- 꽈리 열매는 장과로 둥글고.. 2025. 2. 19. 좁은잎배풍등(가지과) : Narrow-leaf nightshade 국명 : 좁은잎배풍등 영문명 : Narrow-leaf nightshade 학명 : Solanum japonense Nakai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진실, 미소, 큰 은혜,외로움쟁이- 좁은잎배풍등 꽃말 -좁은잎배풍등은 덩굴성이며 털이 거의 없고 많은 가지가 갈라져 길게 뻗는다. 열매는 장과로서 둥글며 지름 6~9mm이고, 붉게 익으며 유독하다. 잎이 난상피침형으로 꽃이 보라색이고 나무로 봐야한다. 2025. 2. 7. 미국까마중(가지과) : American black 국명 : 미국까마중영문명 : American black 학명 : Solanum americanum Mill. 비고 : 귀화식물동심, 단 하나의 진실, 진실- 미국까마중 꽃말 - 미국까마중은 가지과의 한해살이풀로 논, 밭, 과수원, 풀밭, 길가, 공한지, 쓰레기매립지 등에서 자란다.'까마중'이라는 이름을 처음 들었을때 까마귀랑 연관되어 있는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라 까맣게 익은 열매가 빡빡머리 소년이나 스님의 머리모양을 닮았다고 붙었다.특징-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 또는 장 타원형으로 잎 모양의 끝은 날카롭고 아래쪽은 쇄기꼴로 좁아진다.- 잎 가장자리는 물결모양 또는 거치이다.- 6~10월에 보라색이 섞인 흰색 꽃이 우산 모양 꽃차례를 이루어 피고, 꽃잎의 뒷면은 보라색이 진하다.- 지름 5~8mm의 공.. 2025. 2. 4. 구기자나무(가지과) 국명 : 구기자나무 학명 : Lycium chinense Mill. 비고 : 재배식물희생, 성실, 서로 잊어버리자,사랑스러운 꽃, 과거는 흘러갔다- 구기자나무 꽃말 -2024년 9월 경상북도 성주군 남자한테 진~짜 좋은데 정말 좋은데 어떻게 표현할 수가 없네~ 남편이 길게 출장을 갈 때 구기자를 먹이지 말라는 이야기까지 있을 정도로 남자한테 좋다고 소문이 난 구기자나무 구기자나무는 가지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키가 4m까지 자라며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친구이다. 구기자나무는 생육이 활발할 때에는 한 해에 꽃이 2번 피고, 2번 잎이 돋아나며, 2번 열매가 열리는 특징이 있다. 구기자나무의 잎은 어긋나기 또는 여러 개가 모여나기하며 중앙이 넓은 달걀형이고 첨두 또는 무딘형이며 넓거나 좁은 예형으로.. 2025. 1. 13. 도깨비가지(가지과) 국명 : 도깨비가지 학명 : Solanum carolinense L. 비고 : 외래식물, 귀화식물, 생태계교란 생물믿을 수 없음, 기만, 장난 - 도깨비가지 꽃말 -2024년 8월 부산광역시 부산의 유명한 사찰 용궁사 앞의 주차장 옆 도로에서 도깨비가지를 만났다. 인도변에서 도깨비가지들이 군락을 이루기 직전의 모습이었다. 이녀석들은 1978년도에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발견되었으며, 2002년도에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친구들로 제거 및 관리 대상이다. 생태계교란 생물이란 유입주의 생물 및 외래생물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우려가 있는 생물, 유입주의 생물이나 외래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생물 중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로 정의되며 현재까지는 17종의 식물.. 2024. 10. 6. 가시꽈리(가지과) 국명 : 가시꽈리 학명 : Physaliastrum echinatum (Yatabe) Makino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가시꽈리 꽃말 없음2024년 8월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의 어느 산 계곡 주변에서 가시꽈리를 만났다. 잎을 보고 까마중인가 했더니 이게 머시여 가시 같은 돌기가 있는게 아닌가 가시꽈리를 만난건 처음이라 신기했다. 꽈리는 모감주나무 열매처럼 풍선 같은 열매를 맺는데 이녀석의 열매는 풍선 같은 모양은 아니었다. 2024. 10.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