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인동과8

올괴불나무(인동과) : Early-blooming honeysuckle 국명 : 올괴불나무영문명 : Early-blooming honeysuckle 일본명 : ハヤザキヒョウタンボク학명 : Lonicera praeflorens Batalin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사랑의 희열- 올괴불나무 꽃말 -올괴불나무는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러시아(동시베리아), 중국(동북부), 한국에 분포하는 친구이다.올괴불나무는 키는 1.2~2.3m에 달하고 줄기는 2~3개가 지면에서부터 나오며, 잎은 마주나고 난형 또는 타원형이며, 잎 앞면에는 녹색 또는 연한 녹색을 띠고 털이 밀생하며, 뒷면은 다소 분백색이 도는 녹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올괴불나무는 3~4월에 잎보다 꽃을 먼저 피운다.올괴불나무의 꽃은 묵은 가지 끝과 잎겨드랑이에 2개씩 달리.. 2025. 4. 5.
병꽃나무(인동과) : Korean weigela 국명 : 병꽃나무영문명 : Korean weigela 일본명 : コウライヤブウツギ학명 :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비고 : 특산식물,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우아- 병꽃나무 꽃말 -병꽃나무는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최대 3m까지 자라며, 오래된 줄기는 짙은 회갈색이고 길이 방향으로 갈라진 굵은 주름이 있는 것이 특징인 친구이다.병꽃나무는 한국 특산식물로 경기, 강원, 충북 등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3. 22.
마타리(인동과) : Golden lace 국명 : 마타리 영문명 : Golden lace 일본명 : オミナエシ 학명 : Patrinia serratulifolia Link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미인, 무한한 사랑, 친절- 마타리 꽃말 - 마타리는 인동과에 속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 양지에서 자생하는 친구이며, 일본, 중국, 러시아 등지에서도 분포한다. (국가생물지식정보시스템에는 소련이라고 적혀있넹...ㅋㅋ) 마타리는 노란색 꽃이 이뻐서 관화식물(꽃을 감상하는 식물)로 많이 이용되기도 하는데양성식물로 햇빛을 필요로 한다. 마타리는 '패장'이라고도 불리는데 이는 마타리의 뿌리에서 장(된장) 썩는 냄새가 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참고로 '마타리'의 이름 유래에는 여.. 2025. 3. 20.
인동덩굴(인동과) : Golden-and-silver honeysuckle 국명 : 인동덩굴영문명 : Golden-and-silver honeysuckle일본명 : スイカズラ학명 : Lonicera japonica Thunb.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사랑의 인연, 헌신적 사랑, 부성애, 사랑의 고리- 인동덩굴 꽃말 - 2025. 3. 16.
칠자화(인동과) : Seven Son Flower 국명 : 칠자화영문명 : Seven Son Flower일본명 : ナナコバナ학명 : Heptacodium miconioides Rehder비고 : 재배식물1년에 꽃을 2번 피우는 나무- 칠자화 -칠자화는 7~ 9월에 향기로운 흰색 꽃이 핀다.줄기 끝이나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원추꽃차례가 달린다.흰 꽃이 지고 빨간 꽃받침만 남게 되는데, 이 꽃받침 때문에 붉은색의 꽃을 피운 것처럼 보인다.그래서 칠자화는 1년에 2번 꽃을 피운다는 이야기를 듣는 친구이다.참고로 이 붉은색의 꽃받침은 서리가 내릴 때까지 지지 않고 붉게 남아 있다고 한다.참고자료 국가표준식물목록, 모야모 2025. 2. 9.
꽃댕강나무(인동과) : Glossy abelia 국명 : 꽃댕강나무영문명 : Glossy abelia학명 : Abelia × grandiflora (Rovelli ex André) Rehder비고 : 재배식물평안함, 겸손, 겸허- 꽃댕강나무 꽃말 - 2025. 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