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70

속속이풀(배추과) : Bog yellowcress 국명 : 속속이풀영문명 : Bog yellowcress 학명 : Rorippa palustris (L.) Besser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배추과의 두해살이풀- 속속이풀 -속속이풀은 배추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도랑 주변, 논두렁 등 낮은 지대 습윤지에서 자생하는 친구이다.해외로는 중국과 일본 등 북반구의 난대와 온대에 분포한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4. 13.
동고비(참새목 동고비과) : Eurasian Nuthatch 국명 : 동고비영문명 : Eurasian Nuthatch일본명 : ゴジュウカラ중국명 : 普通鳾(茶腹鳾)학명 : Sitta europaea동고비는 우리나라 텃새 중 한 녀석으로 일 년 내내 같은 지역에서 생활하며 주로 야산과 삼림의 활엽수림에서 서식한다. 동고비의 몸은 청회색 윗면과 흰색 멱과 가슴, 황갈색 배를 가지고 있으며, 검은색 눈선과 흰색 눈썹선이 특징이다.동고비는 4~6월에 산란하는데 딱다구리 묵은 둥지나 나무 구멍, 인공 둥지를 번식지로 이용하며, 둥지 구멍이 클 경우, 몸이 빠져나올 정도의 크기만 남기고 진흙으로 막는 행동을 보이는 것 또한 동고비의 특징이다.동고비는 주로 거미, 곤충, 씨앗, 열매 등을 먹이로 섭취하는데 나무 위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특히 높은 곳에서 거꾸로 내려와 먹이를.. 2025. 4. 13.
두선생 두꺼비(무미목 두꺼비과) : Asian toad 국명 : 두꺼비영문명 : Asian toad일본명 : アジアヒキガエル학명 : Bufo gargarizans Cantor비고 : 포획금지종두꺼비는 한국 전역의 산지와 주변 저수지에 서식하는 친구로 전래동화나 동요에도 등장하며 우리에게 친숙한 친구이다.두꺼비는 비교적 개체수가 많지만, 서식지 개발과 이상 기후로 인해 개체수 감소 추세에 있으며, 특히 산란지 개발과 로드킬 등이 주요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그래서 동물보호단체에서 산란지로 이동하는 시기와 산란지에서 산으로 이동하는 시기에 도로로 넘어가지 못하게 네트를 치거나 직접 주워서 옮겨주는 활동을 하기도 한다.두꺼비는 우리나라 다른 토종 개구리들에 비해 몸집이 크고 고막이 뚜렷하며, 번식기에는 암컷의 등이 붉게 변하고, 유생은 짙은 검정색을 띠는 등.. 2025. 4. 13.
단풍나무(무환자나무과) : Palmate maple 국명 : 단풍나무 영문명 : Palmate maple 일본명 : チョウセンヤマモミジ학명 : Acer palmatum Thunb.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사양, 은둔- 단풍나무 꽃말 -은행나무와 더불어 단풍놀이에 대명사 단풍나무단풍나무는 앵글러 분류 체계상으로는 단풍나무과, APG Ⅳ 분류 체계상으로는 무환자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일본과 우리나라(경상도, 전라도, 제주도)에 분포하며, 높이 15m까지 자라는 친구이다.단풍나무는 음지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라지만 습기가 약간 있는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더 잘자란다.단풍나무는 내음성은 보통 수준이나 내한성, 내병충성, 내공해성이 강하고 단풍이 이뻐서 전국적으로 식재를 많이 하고 있다.단풍나무는 단풍과 더불.. 2025. 4. 11.
만첩홍도(장미과) : Prunus persica f. rubroplena C.K.Schneid. 국명 : 만첩홍도일본명 : ヤエノアカモモ학명 : Prunus persica f. rubroplena C.K.Schneid.비고 : 재배식물 고결, 정조, 결백, 충실- 만첩홍도 꽃말 -만첩홍도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소교목으로 4~5월에 잎보다 적색 만첩꽃이 먼저 피는 것이 특징인 친구이다.만첩홍도는 전국 촌락 부근에 식재되는데 양수로서 음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고 내건성이 약하지만 내조성과 내한성이 강해 중부 내륙지방에서도 재배되나 간혹 동해를 입을 수 있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4. 10.
벼룩이자리(석죽과) : Thyme-leaf sandwort 국명 : 벼룩이자리영문명 : Thyme-leaf sandwort일본명 : ノミノツリ학명 : Arenaria serpyllifolia L.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기쁜 소식- 벼룩이자리 꽃말 -벼룩이자리는 석죽과에 속하는 일년생 또는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 각처에서 자라는 친구로 전체적으로 밑을 향한 짧은 털이 있는 것이 특징인 친구이다.벼룩이자리는 논이나 밭의 두렁, 밭이나 과수원, 마당, 빈터, 하천가, 길가 등에서 흔히 자생하는 친구이다.유사종으로는 '벼룩이울타리'라는 친구가 있는데벼룩이울타리는 근생엽은 밀생, 좁고 긴 선형, 키의 절반 길이이다. 줄기잎은 밑부분이 원줄기를 감싼다는 특징이 있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 2025. 4. 10.
삼색제비꽃(제비꽃과) : Johnny jump up 국명 : 삼색제비꽃영문명 : Johnny jump up일본명 : サンシキスミレ학명 : Viola tricolor L.비고 : 재배식물나를 생각해 주세요, 마음의 평화, 평온, 순수한 사랑- 삼색제비꽃 꽃말 -삼색제비꽃은 제비꽃과에 속하는 내한성한해살이 또는 두해살이풀로 유럽에서 건너와 우리나라 전역에 조경용, 원예용으로 식재되는 친구이다.참고자료국가표준식물목록, 모야모, 한반도의생물다양성 2025. 4. 10.
산괴불주머니(양귀비과) : Beautiful corydalis 국명 : 산괴불주머니영문명 : Beautiful corydalis일본명 : エゾキケマン 학명 : Corydalis speciosa Maxim.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보물주머니- 산괴불주머니 꽃말 -산괴불주머니가 군락을 이뤄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다.산괴불주머니는 양귀비과에 속하는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국 산지에서 흔히 자생하는데 습한 곳을 좋아한다. 앞서 산지에서 흔히 자생한다 하였으나 가끔 강변에서도 만날 수 있고, 깊은 산이 아니라도 우리 주변에서 쉽게 만나볼 수 있다. 산괴불주머니는 줄기를 자르면 고약한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 중 하나인데 냄새로 자신을 방어하는 것이라 한다.산괴불주머니는 꽃이 예뻐서 관화식물로 가치가 있으나 실제로 산괴불주머니를 섭.. 2025. 4. 10.
돌단풍(범의귀과) : Maple-leaf mukdenia 국명 : 돌단풍영문명 : Maple-leaf mukdenia 일본명 : イワヤツデ, タンチョウソウ학명 : Mukdenia rossii (Oliv.) Koidz.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숭고, 애교, 기품이 높다, 겸허- 돌단풍 꽃말 -돌단풍은 범의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중국 동북부 지역과 우리나라 충청도 이북 지역의 깊은 산에서 서식하는 친구이다.돌단풍은 개울 주변 바위틈에서 주로 자라며, 5월에 백색 바탕에 약간 붉은 빛이 도는 꽃을 피우며, 5-7개로 갈라진 손모양겹잎이 달리고, 잎은 황록색 또는 연록색으로 가을에 단풍이 든다.이렇게 돌이나 바위 틈에서 자라고, 잎이 단풍나무 잎을 닮았다하여 '돌단풍'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돌단풍은 꽃과 단풍이 .. 2025. 4. 9.
큰개불알풀(질경이과) : Field speedwell 국명 : 큰개불알풀 영문명 : Field speedwell 일본명 : オオイヌノフグリ 학명 : Veronica persica Poir. 비고 : 귀화식물 충실, 신뢰, 청아함, 기쁜 소식- 큰개불알풀 꽃말 - □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4. 9.
양지꽃(장미과) : Sunny-place cinquefoil 국명 : 양지꽃 영문명 : Sunny-place cinquefoil 일본명 : キジムシロ 학명 : Potentilla fragarioides L. var. major Maxim.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사랑스러움- 양지꽃 꽃말 - 양지꽃은 장미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국 산야에서 자생하고 있으며, 일본에도 분포한다. 흔히 양지에서 자라며 꽃이 이뻐서 관화식물로 가치가 있다. □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화살표 풀꽃도감 2025. 4. 9.
골담초(콩과) : Chinese peashrub 국명 : 골담초 영문명 : Chinese peashrub 일본명 : モレスズバ 학명 : 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비고 : 재배식물 자유로운 생활 방식, 모임, 회합- 골담초 꽃말 -골담초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하는 친구이다.골담초는 중국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에서도 경북 및 중부지방의 산지에서 군락지가 발견되어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나무, 한국의나무 2025. 4. 9.
서부해당(장미과) : Flowing Cab-Apple, Hall crabapple 국명 : 서부해당영문명 : Flowing Cab-Apple, Hall crabapple일본명 : ハナカイドウ학명 : Malus halliana Koehne 비고 : 재배식물 산뜻한 미소, 요염, 온화, 미인의 잠, 불타오르는 사랑- 서부해당 꽃말 -서부해당은 장미과에 속하는 중국 원산의 낙엽 소교목 또는 교목으로 우리나라 전국에 식재되고 있는 친구이다.봄에 피우는 연한 홍색의 꽃은 지나가던 발걸음을 멈추고 바라볼 정도로 예쁘다. □ 특징(한국의나무)참고자료모야모, 한국의나무 2025. 4. 8.
살구나무(장미과) : Siberian apricot 국명 : 살구나무 영문명 : Siberian apricot 일본명 : アンズ 학명 : Prunus armeniaca L. 비고 : 재배식물처녀의 수줍음, 의혹, 겁쟁이 사랑- 살구나무 꽃말 -4월 중순 잎보다 연분홍색의 꽃을 먼저 피우는 살구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살구나무는 봄을 알리는 대표적인 관상수로, 복숭아꽃과 함께 고향을 상징하는 나무로 여겨지는 친구이다.살구나무는 주로 경상남북도,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경기도 및 함경남도 등지에 식재되어 있으며 중국에도 분포한다.살구나무 꽃은 매화와 닮았는데 쉽게 구분할 수 있는 포인트가 있다.살구나무 꽃받침은 뒤로 젖혀지는데 매화 꽃받침은 뒤로 젖혀지지 않는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4. 8.
라일락(물푸레나무과) : Lilac 국명 : 라일락 영문명 : Lilac학명 : Syringa vulgaris L. 비고 : 재배식물 첫사랑, 젊은 날의 추억, 우정, 사랑이 싹트다, 청춘의 기쁨, 순진함- 라일락 꽃말 -'서양수수꽃다리'라는 이름이 국가표준식물목록의 추천명이었는데 '라일락'으로 바껴있네 사실 일반 대중에겐 '서양수수꽃다리'라는 이름보다는 '라일락'이라는 이름이 더 친근할 것 같다. 노래에도 많이 등장하니 말이다. 아무튼 라일락은 물푸레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전국 각지에서 공원이나 정원수로 식재되는 친구이다. 라일락은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수수꽃다리'와 매우 닮았는데 잎만으로는 구분이 쉽지가 않다. 그래도 꽃으로 간단하게 구별이 가능한데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수수꽃다리는 꽃이 통부가 좁고 길쭉한 반면 라일락의 꽃.. 2025. 4.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