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태계교란종7

돼지풀(국화과) : Common Ragweed 국명 : 돼지풀 영문명 : Common Ragweed, hogweed 학명 : Ambrosia artemisiifolia L. 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귀화식물행복한 연애- 돼지풀 꽃말 -돼지풀은 우리나라 전국 각처에 분포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산기슭이나 빈터에서 흔하게 생육한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돼지풀이란 이름은 영명의 hogweed에서 온 이름이며 화분병을 일으키는 가장 악질종으로 알려져 있고 소가 먹지 않는다. 하지만 정~먹을 식물이 없으면 돼지풀을 먹기도 하는데 이는 메스꺼움을 유발하고 우유의 풍미를 변화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 돼지풀은 한국전쟁을 계기로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995년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기록되었다. 돼지풀은.. 2025. 2. 7.
도깨비가지(가지과) 꽃, 열매 국명 : 도깨비가지학명 : Solanum carolinense L.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귀화식물, 외래식물믿을 수 없음, 기만, 장난- 도깨비가지 열매 -2024년 11월 경상북도 경주시도깨비가지의 열매는 직경이 약 1.5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노란색으로 변한다.https://budleofking.tistory.com/m/103 도깨비가지(가지과)국명 : 도깨비가지학명 : Solanum carolinense L.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믿을 수 없음,기만,장난도깨비가지 꽃말아주 뾰족하고 큰 가시를 온몸에 칭칭 감고 있는 모습이 아주 강렬한 인상을 풍기는 친budleofking.tistory.comhttps://budleofking.tistory.com/m/161 도깨비가지(가지.. 2024. 11. 19.
단풍잎돼지풀(국화과) 국명 : 국화과 학명 : Ambrosia trifida L. 비고 : 외래식물, 생태계교란 생물 행복한 연애, 재결합 - 단풍잎돼지풀 꽃말 - 2024년 10월 충청북도 괴산군 단풍잎돼지풀은 도로변, 하천변, 경작지나 초지에서 무리를 지어서 주로 분포하는데 산림에도 출현한다고 한다. 이번에 만난 녀석은 산림내부의 초지에서 만났는데 산림 내부에서 만난 건 처음이었다. 평소에 하천변이나 농경지 주변, 빈공터 주변에서 보던 녀석이 산림에 떡하니 나타나니 당황스러웠다. 그만큼 이 산림이 교란이 많이 된 지역이라는 것이겠지.. 단풍잎돼지풀의 확산등급은 2등급으로 경미한 확산 단계에 있다. 경미하지 않은 것 같은데...크흠... 아무튼 그렇다고 한다. 단풍잎돼지풀은 1964년에 처음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 2024. 11. 14.
서양등골나물(국화과) 국명 : 서양등골나물 학명 : Ageratina altissima (L.) R.M.King & H.Rob. 비고 : 귀화식물, 생태계교란 생물 망설임 - 서양등골나물 꽃말-2024년 10월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이천시에서 서양등골나물을 만났다. 서양등골나물은 과수원 내부 뿐만 아니라 인근의 아까시나무 숲 속에도 있었고 여기저기 많이 퍼져있었다. '사근초'라고도 불리는 서양등골나물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 동부에서 우리나라로 귀화해온 것으로 추정되며, 서울 중심으로 경기도 부근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서양등골나물은 1978년 서울 남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관상용으로 많이 심어 급속하게 확산되어 2022년 3월 7일에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서양등골나물의 침입외래식물 확산등급.. 2024. 11. 2.
미국쑥부쟁이(국화과) 국명 : 미국쑥부쟁이 학명 : Symphyotrichum pilosum (Willd.) G.L.Nesom 비고 : 외래식물, 생태계교란 생물 그리움, 기다림, 가련함, 순박함, 늘유쾌함, 우정 - 미국쑥부쟁이 꽃말 -2024년 9월 경상북도 영주시 늦여름쯤되면 슬슬 꽃을 피우는 미국쑥부쟁이 예쁘장한 꽃을 엄청 많이 피워서 만개하고 있는 모습을 보면 마음이 몽글몽글해진다. 하지만 미국쑥부쟁이는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있는데 생태계교란 생물이란 '유입주의 생물 및 외래생물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우려가 있는 생물, 유입주의 생물이나 외래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생물 중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허가 없이는 수입·반입·사육·재배·방.. 2024. 10. 2.
애기수영(마디풀과) 국명 : 애기수영 학명 : Rumex acetosella L. 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귀화식물친근한 정, 애정, 인내 - 애기수영 꽃말 - 2024. 9.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