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약관심23

묏미나리(산형과) 국명 : 묏미나리 학명 :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근본, 기본 - 묏미나리 꽃말 - 2024년 10월 경상북도 포항시 산형과친구들은 정말 봐도봐도 구별이 쉽지 않다. 그래도 보다보면 눈에 익고 다른 점들이 보이기 시작하지 않을까? 신감채와 닮은 묏미나리 둘이 너무 닮았지만 간단하게 구별할 수 있는 포인트가 몇몇이 있다. 첫번째로는 소엽의 모양이 다르다. 신감채는 난상 피침형이지만 묏미나리는 난형이다. 두번째로는 묏미나리의 잎 끝에는 흰 점이 있지만 신감채는 없다.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4. 11. 12.
자주쓴풀(용담과) 국명 : 자주쓴풀 학명 : Swertia pseudochinensis H.Hara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지각(知覺),용서하다,허락하다 - 자주쓴풀 꽃말 - 2024년 11월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의 어느 산 길을 걷다가 멧돼지를 만나서 벌렁거리는 심장으로 산을 내려오다 만난 자주쓴풀 조금만 늦게 왔으면 꽃을 활짝 피운 모습을 볼 수 있었을건데 너무 아쉬웠다. 자주쓴풀은 용담과의 월년 두해살이풀로 전국 산지의 양지바른 곳에서 만날 수 있다. 이 친구는 꽃이 이뻐서 관상용으로 많이 심기도 하는 관화식물이다. 자주쓴풀은 이름답게 자주빛을 띠는 것이 특징으로 줄기가 자줏빛이며 잎은 대생하며 피침형으로 잎끝이 뾰족하다. '자주쓴풀'이라는 이름은 엄청나게 쓴 맛이 나.. 2024. 11. 9.
가시여뀌(마디풀과) 국명 : 가시여뀌 학명 : Persicaria dissitiflora (Hemsl.) H.Gross ex T.Mori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학업의 마침 - 가시여뀌 꽃말 - 2024년 9월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의 어느 계곡의 무너진 길에서 가시여뀌를 만났다. 첨에는 미꾸리낚시 종류인가?했는데 도감을 뒤져봐도 미꾸리낚시 친구들에서는 얘처럼 생긴 친구가 없어서 한참을 헤맸다. 알고보니 이 녀석은 가시여뀌 가시여뀌는 줄기에 적색의 샘털이 밀생한다고 하는데 요녀석은 잘안보였다. 나중에야 '아...있구나'하고 정체를 확신하게 되었다. 아무튼 가시여뀌 이 친구는 전국의 산지에 분포하며 나무 그늘 아래를 좋아하는 마디풀과의 일년생 초본이다. 이 녀석의 특징은 앞서 말.. 2024. 11. 6.
뚜껑덩굴(박과) 국명 : 뚜껑덩굴 학명 : Actinostemma lobatum (Maxim.) Maxim. ex Franch. & Sav.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보물, 여인의 슬기 - 뚜껑덩굴 꽃말 -2024년 9월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구미시 공사장 인근의 하천에서 뚜껑덩굴을 만났다. 하천은 작은 시냇물?정도로 내부는 달뿌리풀, 가시박, 붓꽃, 개여뀌, 버드나무 등 시장판처럼 난장판인 곳이었다. 뚜껑덩굴은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도랑이나 물가 풀밭에서 볼 수 있는 친구이다. 뚜껑덩굴은 잎모양이 방패모양을 하고 있는것과 열매가 익으면 뚜껑처럼 열리는게 특징이다. 최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뚜껑덩굴은 항생제 내성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생물막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 2024. 11. 3.
자귀풀(콩과) 국명 : 자귀풀 학명 : Aeschynomene indica L.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부끄러움, 예민한 마음, 섬세함 - 자귀풀 꽃말 - 2024년 9월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구미에 있는 어느 잔디밭에서 자귀풀을 만났다. 자귀풀은 콩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이 친구를 만났을때 차암 딱 좋게 잎, 줄기, 꽃, 열매 모두 다 있었다. 표본으로 쓰기 딱~~좋은 상태 ㅎㅎ 하지만 나는 표본이 필요하지도 않고 잘살고 있는 녀석을 뽑고 싶지는 않지 후후 이 녀석은 너무 닮은 친구들이 있는데 바로 자귀나무, 차풀, 미모사가 그 친구들이다. 미모사는 한 곳에서 깃겹꼴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한곳에 여러개가 붙어 있으며 전체에 잔털과 가시가 있다. 자귀나무는 잎이 2회 깃모.. 2024. 10. 29.
애기며느리밥풀(현삼과) 국명 : 애기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setaceum (Maxim. ex Palib.) Nakai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질투, 여인의 한 - 꽃며느리밥풀 꽃말 -2024년 8월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의 어느 산속 무너진 길 옆에서 애기며느리밥풀 친구를 만났다. 애기며느리밥풀은 반기생성 한해살이 식물로 전국 산속에서 자란다. 며느리밥풀 친구들로 꽃며느리밥풀, 털며느리밥풀, 알며느리밥풀, 수염며느리밥풀, 새며느리밥풀, 애기며느리밥풀 등이 있는데 이 중 포엽이 붉은색을 띠는 친구는 새며느리밥풀과 애기며느리밥풀이 있다. 새며느리밥풀과 애기며느리밥풀은 포엽의 색과 모양으로도 구분이 가능한데 새며느리밥풀은 포엽이 붉고 둥근 반면에 애기며느리밥풀은 포엽 윗.. 2024. 10. 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