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희귀식물8 흑삼릉(부들과) 국명 : 흑삼릉 학명 : Sparganium stoloniferum (Graebn.) Buch.-Ham. ex Juz.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취약(VU)존재의 따스함- 흑삼릉 꽃말 - 2024년 6월 경상북도 안동시흑삼릉은 부들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연못이나 도랑 주변에서 드물게 자라는 수생식물이다.흑삼릉이라는 이름은 한자어 黑三綾(흑삼릉)에서 유래한 것으로 뿌리 부위가 검은색이라는 뜻이다.흑삼릉은 국가표준식물목록에서는 국가적색목록 LC(약관심)으로 지정되어 있지만 수목원ㆍ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 따라 농림축산식품부령으로 정하는 희귀식물을 따르면 VU(취약)에 해당하는 친구이다. 참고로 수목원ㆍ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에서 정하는 "희귀식물"이란 .. 2025. 1. 16. 좁은잎배풍등(가지과) 국명 : 좁은잎배풍등 학명 : Solanum japonense Nakai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진실, 미소, 큰 은혜, 외로움쟁이 - 좁은잎배풍등 꽃말 -포항 오천읍의 어느 계곡에서 좁은잎배풍등을 마주쳤다. 왕배풍등이라는 친구는 제주도에서 산다고 하니 마주칠 일이 거의 없을 것 같았고 좁은잎배풍등은 언젠가 마주치지 않을까! 했는데 이번에 마주치게 되었다. 잎만 봤다면 배풍등 사촌일거라고 생각지도 못했을 것인데 꽃도 활짝 피우고 있는 덕분에 쉽게 알아볼 수 있었다. 좁은잎배풍등은 6월에 연한 자주색이지만 중앙부는 녹색인 꽃을 피운다고 한다. 좁은잎배풍등은 덩굴성이며 많은 가지가 갈라져서 길게 벋는데 배풍등과 달리 털이 거의 없다는 특징이 있다. 또 잎은 어긋.. 2024. 9. 18. 좀싸리(콩과) 국명 : 좀싸리 학명 : Lespedeza virgata (Thunb.) DC.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생각, 소심 - 좀싸리 꽃말 -산길을 걷다 키가 쪼꼼한 녀석이 흰색 꽃을 활짝 피우고 있었다. 이 친구는 '좀싸리'로 콩과 낙엽 반관목으로 우리나라 전역 산기슭 숲 속에서 산다. 보통 작은 친구들은 접두어로 '좀'을 붙이거나 '애기'를 붙이는데 좀싸리보다는 애기싸리가 더 좋지 않나?라고 생각을 했었지만 '애기싸리'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는 다른 친구가 이미 있어서 아쉬운 마음이 들었다. 좀싸리의 육색 또는 백색 꽃은 8~9월에 잎겨드랑이에서 털같이 가는 화경이 나와 윗부분에 몇개의 꽃이 달려 총상꽃차례를 이루며 소포액에 2개씩 달린다. 꽃받침은 자줏빛이 돌.. 2024. 9. 17. 쉬나무(운향과) 국명 : 쉬나무 학명 : Tetradium daniellii (Benn.) T.G.Hartley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재배식물수피가 매력적인 쉬나무수피가 매력적인 쉬나무 우리나라 중부지방과 북부지방, 울릉도 쪽에서 자생하는 친구인데 병충해에 강한 특성이 있어 여기저기 식재를 많이 한다. 덕분에 주변에서 종종 볼 수 있다. □ 이름유래 중국에는 오나라에서 나는 수유라는 뜻의 '오수유'라고 한약재로 쓰이는 나무가 있었다. 우리나라에 이것과 모양새가 거의 비슷한 나무가 자라고 있었는데 사람들은 오수유라는 이름에서 나라이름인 ‘오’ 자를 빼고 수유나무라고 부르다가 나중에는 쉬나무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또 중국의 오수유와 구분하기 위해 조선수유라 .. 2024. 9. 14. 벗풀(택사과) 국명 : 벗풀 학명 : Sagittaria trifolia L.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신뢰, 고결 - 벗풀 꽃말 -묵논 내부를 돌아다니다가 하얀색 꽃에 시선을 사로잡혔다. 시선을 끈 친구는 택사과의 다년생 수초인 벗풀이었다. 벗풀과 비슷한 친구로는 보풀이 있는데 보풀은 보기 힘든 친구 중 하나이다. 그렇기에 논뚝 같은 곳에서 보이는 녀석들은 대부분 벗풀이다. 도감에서는 벗풀과 보풀은 정열편, 측열편의 길이, 모양 등으로 구분한다고 되어있지만 둘다 잎 변형이 있기에 잎 모양으로 정확하게 구별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둘의 명확한 차이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보풀은 잎겨드랑이에서 작은 알줄기가 생기는 반면 벗풀은 생기지 않는다는 점이다. □ 이름유래 벗풀의 이름 유.. 2024. 9. 13. 시무나무(느릅나무과) 국명 : 시무나무 학명 : Hemiptelea davidii (Hance) Planch.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애국심 - 시무나무 꽃말 -느릅나무 잎을 닮았는데 가까이 다가서면 위협적인 가시로 무장하고 있는 친구가 있다. 이름은 "시무나무"로 애국심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친구이다. 시무나무는 다른 느릅나무속의 식물들에 비해 열 매가 비대칭이고 종자의 날개가 한쪽 에만 달리며, 수피 및 가지에 긴 가시 가있는 것이 특징이다. □ 이름유래 시무나무는 옛날에 싀무나무, 스무나무 등으로 불렸는데 이는 이정표마냥 20리마다 있다해서 붙었다고 한다. 비슷하게 5리마다 이정표로 심었다 해서 "오리나무"라는 이름이 붙은 친구가 있다.□ 수피 특징 .. 2024. 9.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