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 : 개망초
영문명 : White-top
학명 : Erigeron annuus (L.) Desf.
비고 : 귀화식물
화해, 소박하고 청초하다
- 개망초 꽃말 -
개망초는 국화과의 두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국 어디에서든 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온대지방에 퍼져 있는 친구이다.
개망초는 1900년대에 북아메리카에서 우리나라로 귀화해왔다.
'개망초'라는 이름의 유래는 농사와 관련이 있다.
농사짓는 분들에게는 망초와 개망초는 매우 골치 아픈 잡초인데 망초의 경우는 아무리 농약을 뿌려도 죽지 않지만, 개망초는 농약을 치면 없어진다. 그러나 농사를 짓는 사람의 입장에서 보면, 워낙 번식력이 좋아서 한번 밭에 퍼지기 시작하면 농사를 다 망친다는 뜻으로 '개망초'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또 개망초는 '개망초'라는 이름 말고도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우리나라로 귀화한 시기가 한일합방과 비슷한 시기에 들어왔다고 해서 망국초라고도 불리며, 농촌에서는 꽃이 많이 피면 풍년이 든다고 하여 풍년초, 꽃의 생긴 모양과 색깔이 달걀을 후라이 한 것처럼 보여 계란꽃이라고도 부른다고 한다.
또 그 외에 왜풀, 넓은잎잔꽃풀, 개망풀과 더불어 북한에서 부르는 순우리말 이름인 돌잔꽃이라는 이름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개망초는 농사를 망치기는 등 해만 끼치는 잡초가 아니다.
개망초는 방석 모양으로 얕게 퍼져 자라는 부드럽고 연한 잎을 살짝 데쳐서 찬물에 우려낸 다음 양념을 넣어 무침나물이나 고기국에 넣어서 먹을 수 있다.
또 튀김으로 해먹거나 생식을 하기도 하며 생즙을 내어 마시기도 한다.
성숙한 잎은 말려서 음료 대용으로 삶아 마시기도 하며 만간에서는 소화가 안될 때 약으로도 썼다고 한다.
특징
-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쓰러지고 엽병이 길며 달걀모양이고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다.
- 줄기잎은 어긋나기하고 밑부분의 것은 달걀모양 또는 난상 피침형이며 양면에 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드물게 있으며 엽병은 날개가 있다.
- 윗부분의 잎은 좁은 달걀모양 또는 피침형으로서 뾰족한 톱니가 있고 양끝이 좁으며 뒷면 맥 위와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 꽃은 6~7월에 피고 가지 끝과 원줄기 끝에 산방상으로 달리며 지름 2cm정도로서 백색 이지만 때로는 자줏빛이 도는 혀꽃이 둘러싸고 있다.
(개망초와 닮은 망초는 원뿔모양꽃차례를 이룬다.)
- 높이 30-100cm이고 줄기는 곧게서며 전체에 짧고 굵은 털이 있고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산림청, 모야모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괭이눈(범의귀과) : Mountain golden saxifrage (0) | 2025.02.05 |
---|---|
미국까마중(가지과) : American black (2) | 2025.02.04 |
고추나무(고추나무과) : Bumald’s bladdernut (0) | 2025.01.31 |
등골나물(국화과) : Opposite-leaf eupatorium (0) | 2025.01.31 |
흰여뀌(마디풀과) : Pale smartweed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