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줄기6 구기자나무(가지과) 국명 : 구기자나무 학명 : Lycium chinense Mill. 비고 : 재배식물희생, 성실, 서로 잊어버리자,사랑스러운 꽃, 과거는 흘러갔다- 구기자나무 꽃말 -2024년 9월 경상북도 성주군 남자한테 진~짜 좋은데 정말 좋은데 어떻게 표현할 수가 없네~ 남편이 길게 출장을 갈 때 구기자를 먹이지 말라는 이야기까지 있을 정도로 남자한테 좋다고 소문이 난 구기자나무 구기자나무는 가지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키가 4m까지 자라며 우리나라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친구이다. 구기자나무는 생육이 활발할 때에는 한 해에 꽃이 2번 피고, 2번 잎이 돋아나며, 2번 열매가 열리는 특징이 있다. 구기자나무의 잎은 어긋나기 또는 여러 개가 모여나기하며 중앙이 넓은 달걀형이고 첨두 또는 무딘형이며 넓거나 좁은 예형으로.. 2025. 1. 13. 새머루(포도과) 국명 : 새머루학명 : Vitis flexuosa Thunb.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기쁨, 박애, 자선- 새머루 꽃말 - 2024년 05월 경상북도 성주군 오늘 킹버들의 버드나무왕국에서 소개할 친구는 '새머루'이다. 얼마 전에 '털개머루' 친구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는데 그 친구와 같은 포도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덩굴성으로 3m까지 자라는 친구이다. 보통 개머루나 다른 포도과 친구들을 보면 잎이 갈라지는 특징이 있는데 새머루는 잎이 보통은 갈라지지 않는다. 하지만 어린나무의 것은 깊이 갈라지기도 한다고 하니 잎이 갈라진다해서 '새머루'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안될 듯하다. 개머루와 새머루의 차이는 꽃의 화서가 가장 큰 차이인데 개머루는 취산꽃차례인데 반해 새머.. 2025. 1. 2. 겨울의 쪽동백나무(때죽나무과) 국명 : 쪽동백나무학명 : Styrax obassia Siebold & Zucc.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낭만적인 사랑, 장대- 쪽동백나무 꽃말 -2024년 경기도 용인시 이번에 킹버들의 버드나무왕국에 소개될 친구는 '쪽동백나무'이다. 쪽동백나무는 때죽나무과의 낙엽활엽소교목인 친구로, 한반도에서는 전라도와 함경남도를 제외하고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내한성이 강하고 각종 공해에도 강해서 도심지에도 식재가 가능하다. 쪽동백나무는 여름에는 개성 넘치는 잎으로 쉽게 알아볼 수 있는데 남들과 다른 벗겨지는 가지의 수피 때문에 겨울에도 쉽게 알아볼 수 있다. 또한 굴곡이 생기고 얕고 고르게 갈라지거나 매끈한 회빛 갈색의 줄기 역시 쪽동백나무만의 특징을 잘 보여.. 2024. 12. 25. 딱지꽃(장미과) 국명 : 딱지꽃학명 : Potentilla chinensis Ser.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언제나 사랑해- 딱지꽃 꽃말 -2024년 7월 경상북도 울진군 킹버들의 버드나무왕국에서 이번에 소개할 친구는 딱지꽃이다. 딱지꽃의 이름은 딱지처럼 땅바닥에 납작하게 퍼져서 자란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딱지꽃의 정식 국명은 딱지꽃이지만 제주도에서는 해래비꽃, 영남지방에서는 딱지기, 전남 완도에서는 지네초라고도 불린다. 아무튼 딱지꽃은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전국 각지의 산야지 길가의 양지 초원이나 들녘의 둑에 자생한다. 이번에 딱지꽃을 만난 장소는 산림 주변의 도로에서 만났다. 딱지꽃과 닮은 친구들로는 솜양지꽃과 털딱지꽃이 있는데 둘 다 잎 표면에 털이 많아 딱지.. 2024. 12. 24. 땅콩(콩과) 국명 : 땅콩 학명 : Arachis hypogaea L. 비고 : 재배식물 그리움 - 땅콩 꽃말 - 2024년 10월 경상북도 성주군 2024. 11. 11. 장대냉이(십자화과) 국명 : 장대냉이 학명 : Berteroella maximowiczii (Palib.) O.E.Schulz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약관심(LC)"장대냉이"는 십자화과의 1년생초본식물로 전국 각지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만날 수 있는 친구이다. 은은하게 핑크핑크한게 이뻐서 시선을 잡아끄는 것 같다. 이 친구는 꽃말도 이름유래도 찾지 못했다...(내가 못찾은 거 일수도) 그래서 킹버들 내가 꽃말을 지어보고 이름유래를 추측해보았다. 장대냉이의 꽃말 : 그리움, 순정, 동심 내가 이러한 꽃말을 지은 이유는 음...그냥 장대냉이의 꽃을 보고 있으니 은은한 분홍색의 꽃이 떼묻지 않은 순수한 동심, 순정 그리고 그 시절에 대한 그리움이 떠올라서이다. □ 이름유래 추측 화서가 냉이와 같은 총상꽃차례를 .. 2024. 7.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