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돼지풀(국화과) : Common Ragweed

by 킹버들 2025. 2. 7.
반응형

국명 : 돼지풀
영문명 : Common Ragweed, hogweed
학명 : Ambrosia artemisiifolia L.
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귀화식물

행복한 연애

- 돼지풀 꽃말 -


돼지풀은 우리나라 전국 각처에 분포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산기슭이나 빈터에서 흔하게 생육한다.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유럽과 아시아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돼지풀이란 이름은 영명의 hogweed에서 온 이름이며 화분병을 일으키는 가장 악질종으로 알려져 있고 소가 먹지 않는다.
하지만 정~먹을 식물이 없으면 돼지풀을 먹기도 하는데 이는 메스꺼움을 유발하고 우유의 풍미를 변화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킨다.

돼지풀은 한국전쟁을 계기로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1995년 제주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기록되었다.
돼지풀은 토착 식물과 경쟁하며 서식지 변화와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꽃가루는 알레르기 유발상이 매우 높아 건강에 위해를 끼치는 등의 유해작용을 하여 1999년 1월 7일에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그렇다하여 돼지풀이 해만 끼치는 친구는 아니다.
돼지풀은 사료, 항염증제, 향균제로 사용되기도 하며,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데 이용되기도 하는데 실제로 납과 카드뮴을 토양으로부터 성곡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특징
- 높이가 1m이상에 달하고 전체에 짧은 센털이 있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 잎은 밑부분에서는 마주나기하며 상부에서는 어긋나기하고 2-3회 우상으로 갈라진다.
-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털이 있으며 뒷면은 잿빛이 돌고 연모가 밀생한다.
- 꽃은 암수한포기로 8~10월에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의 꽃이 이삭꽃차례로 피며, 이 머리모양의 
꽃은 노란빛이 도는 녹색이다.
- 수꽃은 줄기 끝에 여러 개가 이삭꽃차례로 달리며, 암꽃은 수꽃차례 
밑에 2~3개씩 달린다.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생태계교란 식물의 이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