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명 : 뻐꾹채
영문명 : Uniflower swisscentaury
일본명 : オオバナアザミ
학명 : Leuzea uniflora (L.) Holub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독립, 엄격, 고결, 선행, 은혜, 염세, 봄 나그네
- 뻐꾹채 꽃말 -
뻐꾹채는 우리나라 전역의 건조한 양지, 특히 산지 능선부에서 잘 자라는 국화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중국, 소련, 몽고 등에 분포한다.
'뻐꾹채'라는 이름은 뻐국채의 꽃이 피어나는 시기가 뻐꾸기가 우는 시기인 5월이라 옛날 사람들이 뻐꾹채의 꽃을 피게 하는 것이 바로 뻐꾸기라 생각해서 붙었다고 한다.
또 다른 설은 뻐꾹채의 꽃송이들을 감싸고 있는 부분이 마치 뻐꾸기의 앞가슴 깃털을 닮았다고 해서 붙었다는 설도 있다.
엉겅퀴와 비슷하지만 가시가 없고 꽃이 크며, 잎 앞뒷면과 줄기에 흰 털이 밀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징
- 높이 30~70cm까지 자란다.
- 잎은 근생엽과 줄기잎으로 나뉘는데, 근생엽은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으며 우상으로 완전히 갈라지고 흰 털이 밀생하며, 줄기잎은 어긋나고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 꽃은 6~8월에 지름 6~9cm의 홍자색으로 원줄기 끝에 한 개씩 핀다.
- 열매는 긴 타원형의 수과이다.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주간한국
반응형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밀(마디풀과) : Brank (0) | 2025.02.15 |
---|---|
반쪽고사리(봉의꼬리과) : Unequal-lobe brake fern (0) | 2025.02.15 |
가시연꽃(수련과) : Prickly waterlily (0) | 2025.02.14 |
좀돌팥(콩과) : Common Asian cowpea (0) | 2025.02.12 |
여우주머니(여우주머니과) : Ussuri river leafflower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