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 : 서양벌노랑이
영문명 : Common bird's-foot-trefoil
일본명 : セイヨウミヤコグサ
학명 : Lotus corniculatus L.
비고 : 귀화식물
다시 만날 날 까지, 변덕스러운 마음
- 서양벌노랑이 꽃말 -
서양벌노랑이는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1995년 이전에 북아프리카, 유라이사로부터 국내로 귀화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남부 지방과 제주도 바닷가 모래땅, 목포 삼학도 매립지, 전북 고창, 충남 서산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인도, 이란, 호주, 북미, 일본, 중국 등에 귀화해서 살고 있다.
특징
- 길이 30cm 정도 자란다.
- 달걀 모양 또는 거꾸로 된 달걀 모양의 3개의 작은 잎으로 이루어진 잎을 가지고 있으며, 탁엽은 소엽과 같은 모양이라 소엽과 구별이 안되어 우상복엽인 것처럼 보인다.
- 5~9월에 3~7개의 노란색 꽃이 우산 모양 꽃차례를 이루어 핀다.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과 모야모에서는 꽃이 3~7개, 화살표 식물도감에서는 4~7개가 핀다고 서술되어 있다.)
- 꽃받침 열편은 꽃받침 통과 길이가 같거나 짧다.
- 서양벌노랑이의 줄기는 기부에서 많은 가지를 치며 속이 차 있다.
(서양벌노랑이와 닮은 들벌노랑이라는 속이 비어있다.)
- 뿌리는 곧은 뿌리이다.
국내 자생종인 벌노랑이와 비교하여 서양벌노랑이는 꽃받침 열편의 길이와 꽃차례에 달리는 꽃의 수로 구분됩니다.
○ 꽃 갯수 차이
- 벌노랑이 : 4개 이하(화살표 식물도감 서술)
- 서양벌노랑이 : 3~7개(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4~7개(화살표 식물도감)
- 들벌노랑이 : 5~15개(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화살표 식물도감, 한국 침입외래식물의 이해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시상추(국화과) : Prickly lecttuce (0) | 2025.02.18 |
---|---|
쇠털이슬(바늘꽃과) : Cordata enchanter’s nightshade (0) | 2025.02.18 |
갈퀴나물(콩과) : Cheder vetch (0) | 2025.02.18 |
개지치(지치과) : Corn gromwell (0) | 2025.02.16 |
메밀(마디풀과) : Brank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