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청미래덩굴2

청미래덩굴(청미래덩굴과) : East Asian greenbrier 국명 : 청미래덩굴영문명 : East Asian greenbrier 학명 : Smilax china L.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불굴의 정신, 건강, 굽히지 않음- 청미래덩굴 꽃말 -2024년 4월 김천시청미래덩굴은 청미래덩굴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덩굴성 관목으로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필리핀, 인도차이나 반도 등에 분포하는 친구이다.우리나라 산림 가장자리 등에서 흔히 만나볼 수 있는데 "숲 속으로 들어가려면 나를 뚫고가라!"하고 지키는 문지기 역할을 하는 듯하다.청미래덩굴의 뿌리 줄기는 굵고 딱딱하며 옆으로 길게 뻗어나가며, 줄기는 마디마다 굽으며 갈고리 같은 가시가 있고 2m까지 자란다.청미래덩굴의 잎은 호생(어긋나기)하며, 원형, 넓은 난형 꼬는 넓은 .. 2025. 1. 18.
청가시덩굴(청미래덩굴과) 국명 : 청가시덩굴 학명 : Smilax sieboldii Miq.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장난- 청가시덩굴 꽃말 - 청가시덩굴은 청미래덩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덩굴성 목본식물로 우리나라 전국 산야에서 흔히 자생하는 친구로 중국, 일본, 타이완에도 분포한다. 청가시덩굴은 추위에 강하고 양지와 음지를 다 좋아하며, 맹아력이좋아 무수한 줄기가 뻗어 올라온다. 건조한 곳에서는 생육이 불량하고 비옥한 곳을 좋아하며 석회암지대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청가시덩굴은 길이 5m까지 자라는데 잎은 어긋나기하며, 난상 타원형, 난상 심장형이고 털이 없다. 잎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이고 끝이 뾰족하다. 잎 밑 부분에서 나온 5~7맥이 다시 그물맥이 되며 엽병 중앙부에 탁엽이 변.. 2025. 1.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