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식물

까치수염(앵초과) : Manchurian yellow loosestrife

by 킹버들 2025. 2. 19.
반응형

국명 : 까치수염
영문명 : Manchurian yellow loosestrife
일본명 : ノジトラノオ
학명 : Lysimachia barystachys Bunge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동심, 친근한 정, 충실, 견고, 정직, 정조

- 까치수염 꽃말 -


까치수염은 앵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산비탈이나 길가의 습윤한 곳에서 자라며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에 분포한다.
'까치수염'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정확하게 밝혀진바 없으나 까치 날개의 흰 무늬를 닮은데서 유래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 까치수염은 까치수염이라는 이름 외에도 여러가지 이름을 가지고 있는데
하얗고 꼬부랑한 개의 꼬리를 닮았단 뜻에서 '개꼬리풀',
'가짜'란 뜻을 가진 우리말 '까치'와 '잘 여문 이삭'을 뜻하는 한자어 ‘수영’을 합친 ‘까치수영’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특징
- 키는 높이 50~100cm까지 자란다.
- 잎은 어긋나지만 모여나는 것처럼 보이며, 선상 긴 타원형으로 길이 6~10cm, 폭 8~15mm이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며, 양끝이 점차 좁아진다.
- 잎에는 털과 내선점이 있으며, 표면에도 털이 있는 경우가 많다.
-흰 꽃은 6~8월에 줄기 꼭대기에서 꼬리처럼 옆으로 굽은 총상꽃차례를 이루어 밀집하여 핀다.
- 꽃차례는 열매가 달릴 때 30cm까지 길어진다.
- 유사종인 큰까치수염과 달리 잎이 선상 장타원형이고 잎끝이 둔하며 전체적으로 잔털이 많다.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화살표 식물도감, 동아사이언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