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생물분류기사 식물14 까치박달(자작나무과) 국명 : 까치박달학명 : Carpinus cordata Blume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견고, 인내- 까치박달 꽃말 -2024년 9월 경상북도 포항시경상북도 포항시 어느 산 계곡에서 까치박달을 만났다.까치박달은 자작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양지나 음지를 가리지 않으나 다습한 곳을 좋아하는 친구이다.때문에 까치박달은 우리나라 산 계곡가에서 싑게 만날 수 있는 친구이다.까치박달은 재미있는게 '박달'이라는 말이 이름에 들어가 있지만 박달나무 종류가 아닌 서어나무 종류이다.박달나무처럼 목재가 단단해서 '작다'라는 의미를 가진 '까치'를 붙여서 까치박달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까치박달의 수피는 회색으로 세로로 조금씩 벌어져 무늬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고, 잎은 밑.. 2024. 11. 25. 용담(용담과) 국명 : 용담학명 : Gentiana scabra Bunge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애수, 정의, 성실,당신이 슬플 때 더 사랑을 느낀다- 용담 꽃말 -2024년 11월 경상북도 포항시소나무재선충병으로 죽은 소나무를 벌목해서 거의 민둥산이 되어버린 어느 산에서 용담을 만났다.용담은 우리나라 전국 산야에서 만날 수 있는 용담과의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주로 고산에서 생육한다고 하며, 가을이 시작되는 입추 8~10월에 개화를 한다.이녀석은 해안가 근처의 낮은 산에서 만났는데 아마 주변에 경작지에서 퍼져나간 것으로 생각된다.용담은 어린 싹과 잎은 식용하고, 뿌리를 용담이라고 하는데 이는 고미건조제로 사용한다.이렇게 약재로 이용하는 뿌리에서는 강한 쓴맛이 나는데 그 정.. 2024. 11. 23. 단풍취(국화과) 국명 : 단풍취 학명 :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순진, 감사 - 단풍취 꽃말 -2024년 8월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의 어느 산속에서 단풍취를 만났다. 조금만 더 늦게 만났으면 꽃을 피운 모습을 볼 수 있었을텐데 아쉬운 감정이 들었다. 단풍취는 우리나라 전역 산속에서 볼 수 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단풍취'라는 이름은 '나물로 먹을 수 있는데 단풍나무 잎을 닮았다'고 해서 붙었다. 그덕에 취나물 종류 중에 쉽게 동정할 수 있는 친구이다. 2024. 10. 20. 냉이(배추과) 국명 : 냉이 학명 :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k.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봄색시, 당신께 나의 모든것을 드립니다. - 냉이 꽃말 -2024년 3월 경상북도 구미시 봄이 왔음을 알려주는 정령과 같은 친구들이 여럿있는데 그 중 하나인 '냉이'라는 친구이다. 냉이는 우리 주변에서 쉽게 만나볼 수 있는 친구로 봄이 되면 흰 꽃을 피우면서 자신을 봐달라며 뽐내고 있다. 그리고 쑥과 함께 나물로 많이 먹기도 하는 친구... (냉이된장찌개 꿀맛 ㅋㅋ) 냉이는 2년생 초본식물로 씨앗이 발아하면 그 해에는 꽃을 피우지 않다가 겨울을 겪어야 꽃을 피운다. 그렇게 꽃을 피우고 맺은 열매는 하트모양을 하고 있어서 내 짝꿍에게 내 마음이야 ❤️.. 2024. 10. 9. 고마리(마디풀과) 국명 : 고마리 학명 :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Gross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순정, 색다름 - 고마리 꽃말 -2024년 충청남도 천안시 어느 농경지 옆으로 흐르는 작은 계곡(?)에서 꽃을 활짝 피운 고마리를 만났다. 오랜만에 꽃을 활짝 피우고 있는 고마리를 보니 너무 반가움 그 자체 작은 연꽃의 꽃을 보는 것 같은 고마리 고마리는 약용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메밀과 비슷한 열매를 맺어 그 열매로 수제비를 해먹었다고 한다. 또 꿀도 많이 만들어서 꿀벌들에게 많은 꿀을 제공해준다. 거기다 고마리는 물의 부영영화를 일으키는 주범인 질소 등의 성분을 흡수해서 물을 정화하는 식물로 유명하다. 그래서 이름도 물을.. 2024. 10. 6. 붉나무(옻나무과) 국명 : 붉나무 학명 : Rhus chinensis Mill.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신앙, 지적인, 화려함, 장려 - 붉나무 꽃말-2024년 9월 충청남도 천안시 '오배자나무'라고도 불리는 붉나무가 열매를 맺었다. 잎이 조금만 깨끗했다면 더 이쁜 사진을 담을 수 있었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조금 남지만 자연 그대로의 모습도 이쁘다. 이 녀석은 동정하기가 쉬운 편인데 그 이유는 엽축에 날개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엽축에 날개가 있다?붉나무!라고 하면 안된다. 중국굴피나무라고 그 녀석도 엽축에 날개를 달고 있기 때문이다 ㅎㅎ 붉나무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친구라 옻 오르는 사람은 주의하시길 2024. 10. 5.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