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오블완19 양버들(버드나무과) : Black poplar 국명 : 양버들영문명 : Black poplar학명 : Populus nigra L.비고 : 재배식물 비탄, 애석- 양버들 꽃말 -2024년 8월 충청남도 천안시 유럽에서 건너와서 전국적으로 식재가 된 친구가 있다. 서양을 뜻하는 '양'자를 달고있는 '양버들'이라는 친구다. 이 친구는 버드나무과의 낙엽 활엽 교목인데 가지가 수간을 따라 수직으로 자라 피침형의 수형으로 자란다. 양버들과 비슷한 시기에 우리나라로 도입된 친구가 있는데 그 친구는 '미루나무'라고 부르는 친구이다. 둘다 생김새가 비슷~하고 둘 다 해외에서 우리나라로 건너온 탓에 양버들과 미루나무를 같은 종으로 혼동하는 상황이 생기는데 엄연히 둘은 다른 종이다. 양버들은 서양, 즉 유럽에서 건너왔고, 미루나무는 미국에서 건너온 친구이다. 미루나.. 2024. 11. 15. 단풍잎돼지풀(국화과) 국명 : 국화과 학명 : Ambrosia trifida L. 비고 : 외래식물, 생태계교란 생물 행복한 연애, 재결합 - 단풍잎돼지풀 꽃말 - 2024년 10월 충청북도 괴산군 단풍잎돼지풀은 도로변, 하천변, 경작지나 초지에서 무리를 지어서 주로 분포하는데 산림에도 출현한다고 한다. 이번에 만난 녀석은 산림내부의 초지에서 만났는데 산림 내부에서 만난 건 처음이었다. 평소에 하천변이나 농경지 주변, 빈공터 주변에서 보던 녀석이 산림에 떡하니 나타나니 당황스러웠다. 그만큼 이 산림이 교란이 많이 된 지역이라는 것이겠지.. 단풍잎돼지풀의 확산등급은 2등급으로 경미한 확산 단계에 있다. 경미하지 않은 것 같은데...크흠... 아무튼 그렇다고 한다. 단풍잎돼지풀은 1964년에 처음 발견되었다고 보고되어 있으며, .. 2024. 11. 14. 며느리배꼽(마디풀과) 국명 : 며느리배꼽 학명 : Persicaria perfoliata (L.) H.Gross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변덕쟁이, 정체 불명, 이루어질수 없는 사랑 - 며느리배꼽 꽃말 - 2024년 10월 경상북도 고령군 '며느리'라는 단어가 붙은 이름을 가진 친구들이 종종 있는데 그 중 몇을 꼽아보자면 꽃며느리밥풀, 며느리배꼽, 며느리밑씻개, 그리고 '며느리주머니'라는 이명을 가진 금낭화 등이 있다. 그 중 이번에 만난 친구는 '며느리밑씻개'라는 친구를 닮은 '며느리배꼽'이라는 친구이다. '며느리배꼽'은 마디풀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줄기에 있는 가시가 위협적인 녀석이다. 며느리밑씻개는 전국 각처에 분포하며, 길가나 빈터, 하천변, 계곡주변 등에서 만날 수 있.. 2024. 11. 13. 묏미나리(산형과) 국명 : 묏미나리 학명 : Ostericum sieboldii (Miq.) Nakai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근본, 기본 - 묏미나리 꽃말 - 2024년 10월 경상북도 포항시 산형과친구들은 정말 봐도봐도 구별이 쉽지 않다. 그래도 보다보면 눈에 익고 다른 점들이 보이기 시작하지 않을까? 신감채와 닮은 묏미나리 둘이 너무 닮았지만 간단하게 구별할 수 있는 포인트가 몇몇이 있다. 첫번째로는 소엽의 모양이 다르다. 신감채는 난상 피침형이지만 묏미나리는 난형이다. 두번째로는 묏미나리의 잎 끝에는 흰 점이 있지만 신감채는 없다.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4. 11. 12. 땅콩(콩과) 국명 : 땅콩 학명 : Arachis hypogaea L. 비고 : 재배식물 그리움 - 땅콩 꽃말 - 2024년 10월 경상북도 성주군 2024. 11. 11. 주홍서나물(국화과) 국명 : 주홍서나물 학명 : Crassocephalum crepidioides (Benth.) S.Moore 비고 : 외래식물, 귀화식물 가을의 여인, 중요한 건 겉모습보다 마음 - 주홍서나물 꽃말 - 2024년 10월 경상북도 포항시 사진을 좀 더 많이 찍어올걸 그랬다 ㅠ 다음에 만나면 사진을 많이 찍어서 다시 올려야지 2024. 11. 10.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