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콩과24 골담초(콩과) : Chinese peashrub 국명 : 골담초 영문명 : Chinese peashrub 일본명 : モレスズバ 학명 : Caragana sinica (Buc'hoz) Rehder 비고 : 재배식물 자유로운 생활 방식, 모임, 회합- 골담초 꽃말 -골담초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제주도를 포함한 전국에 분포하는 친구이다.골담초는 중국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나, 한국에서도 경북 및 중부지방의 산지에서 군락지가 발견되어 원산지로 추정되고 있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나무, 한국의나무 2025. 4. 9. 박태기나무(콩과) : Chinese redbud 국명 : 박태기나무 영문명 : Chinese redbud 학명 : Cercis chinensis Bunge 비고 : 재배식물 배신, 자각, 풍요로운 생애, 의혹, 불신, 고귀- 박태기나무 꽃말 -박태기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원산지는 중국이며, 우라나라에서도 관상용으로 널리 식재되어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친구이다.박태기나무는 반그늘 또는 양지에서 잘 자라며 추위에 강하고, 토질에 대한 적응력이 높아서 황폐지나 척박지에서도 잘 자란다. □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4. 4. 아까시나무 맹아(콩과) : Mossy locust 국명 : 아까시나무 영문명 : Mossy locust 일본명 : ニセアカシヤ학명 : Robinia pseudoacacia L.비고 : 재배식물, 외래화우려식물 품위, 친목, 우아, 우정,의지할 수 있는 사람, 죽음을 이기는 사랑- 아까시나무 꽃말 -아까시나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높이 25m까지 자라며 전국에 식재된 친구이다.내한성, 내염성, 내공해성이 강하고 맹아력이 강해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지만, 원래는 비옥한 토양을 선호한다고 한다.아무튼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자라기에 1900년 초에 연료림으로 도입되어 황폐지 복구용 또는 연료림으로 전국에 식재되었는데 맹아력이 강해서 수종갱신에 어려움이 있다.5~6월에 유백색의 향기로운 꽃이 총상꽃차례로 피는데 꿀도 풍부해서 밀.. 2025. 3. 29. 봄을 맞이하는 큰낭아초(콩과) : False indigo 국명 : 큰낭아초영문명 : False indigo 학명 : Indigofera bungeana Walp.비고 : 재배식물, 외래화우려식물사랑의 노래를 부르는 꽃,신의, 소원성취- 큰낭아초 꽃말 -겨울동안 잠을 자던 큰낭아초가 봄이 오자 기지개를 펴고 잎을 펼치기 시작했다. 2025. 3. 18. 토끼풀(콩과) : White dutch clover 국명 : 토끼풀 영문명 : White dutch clover 일본명 : シロツメクサ 학명 : Trifolium repens L. 비고 : 귀화식물약속, 행운, 평화- 토끼풀 꽃말 - 2025. 2. 26. 나비나물(콩과) : Two-leaf vetch 국명 : 나비나물 영문명 : Two-leaf vetch 일본명 : ナンテンハギ 학명 : Vicia unijuga A.Braun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근심, 걱정, 소심함- 나비나물 꽃말 -나비나물은 콩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우리나라 전역의 산야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콩과 식물 중 드물게 순과 꽃봉오리를 나물로 이용하는 귀한 산채이다.또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일본과 중국에도 분포하고 있다.'나비나물'이라는 이름은 여름, 가을에 피는 꽃봉오리가 벌어졌을 때 두 장씩 마주나는 꽃잎이 나비모양을 닮았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특징- 나비나물은 높이 30~100cm까지 자란다.- 잎은 어긋나고 한 쌍의 달걀형 또는 넓은 피침형 소엽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2025. 2. 25.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