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티스토리챌린지19

둥근잎나팔꽃(메꽃과) 국명 : 둥근잎나팔꽃 학명 : Ipomoea purpurea (L.) Roth 비고 : 외래식물, 귀화식물 결속, 허무한 사랑, 냉정 - 둥근잎나팔꽃 꽃말 -2024년 11월 대구광역시 2024. 11. 21.
감 먹는 직박구리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우리들의 수다쟁이 직박구리 직박구리의 울음소리를 들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아무튼 나 킹버들은 직박구리를 좋아하는데 직박구리가 감을 먹는 모습을 동영상으로 담았다. 너무 귀여워 ㅎㅎ+ 직박구리 사진 2024. 11. 20.
도깨비가지(가지과) 꽃, 열매 국명 : 도깨비가지학명 : Solanum carolinense L.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귀화식물, 외래식물믿을 수 없음, 기만, 장난- 도깨비가지 열매 -2024년 11월 경상북도 경주시도깨비가지의 열매는 직경이 약 1.5cm 정도이며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다 익으면 노란색으로 변한다.https://budleofking.tistory.com/m/103 도깨비가지(가지과)국명 : 도깨비가지학명 : Solanum carolinense L.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믿을 수 없음,기만,장난도깨비가지 꽃말아주 뾰족하고 큰 가시를 온몸에 칭칭 감고 있는 모습이 아주 강렬한 인상을 풍기는 친budleofking.tistory.comhttps://budleofking.tistory.com/m/161 도깨비가지(가지.. 2024. 11. 19.
극락조화(극락조화과) 국명 : 극락조화 학명 : Strelitzia reginae Banks 비고 : 재배식물 신비, 영구불멸 - 극락조화 꽃말 -2024년 11월 대구수목원 대구수목원으로 단풍놀이를 간 킹버들 근데 대구수목원에서 극락조화 꽃이 피었다. 극락조화는 남아프리카 희망봉이 고향인 극락조화과의 열대 상록여러해살이풀이다. 극락조화의 꽃말은 '신비', '영구불멸'인데 꽃을 보면 왜 그런 꽃말이 붙었는지 이해가 간다. 극락조화라는 이름은 꽃이 핀 모양이 마치 극락조가 날개를 편 모양 같다고 해서 붙은 이름이다. 개화시기는 5~8월인데 아무래도 온실에서 자라고 있는 친구다 보니 11월에도 꽃을 피운 모양이다. 극락조화는 6년생이 되어야 꽃을 피우기 때문에 어릴 때 심은 극락조화의 꽃을 보려면 오랫동안 기다려야 한다.참고자료.. 2024. 11. 18.
더위지기(국화과) 국명 : 더위지기 학명 : Artemisia sacrorum Ledeb. var. iwayomogi (Kitam.) M.S.Park & G.Y.Chung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국화과 낙엽활엽아관목 - 더위지기 - 2024년 10월 경상북도 안동시 안동의 어느 도로 옆 나무 아래에서 더위지기를 만났다. 더위지기는 국화과 낙엽활엽아관목으로 개똥쑥. 사철쑥 등 닮은 녀석들과 다르게 목본식물이다. 그래서 줄기 아랫쪽을 보면 목질화가 되어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더위지기라는 이름은 민간에서 여름에 더위를 먹고 쓰러지거나 더위로 인해 심한구토와 현기증 등으로 고생할 때 '생 인진쑥을 짓이겨 즙을 내어 냉수에 타서 마시면 곧 증상이 없어진다'하여 붙여졌다. 이름유래에서.. 2024. 11. 17.
은대난초(난초과) 국명 : 은대난초 학명 : Cephalanthera longibracteata Blume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탄생 - 은대난초 꽃말 - 2024년 10월 경상북도 안동시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안동호 인근의 산림에서 은대난초를 만났다. 은대난초의 꽃은 지나가던 사람들의 발걸음을 멈추고 바라보게 할 정도로 은은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는데 이번엔 이미 꽃이 지고 난 뒤에 만나서 아쉬운 마음이 든다. 은대난초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지에서 볼 수 있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은대난초라는 이름은 '잎이 댓잎(대나무잎)을 닮은 난초'라는 의미를 품고 있는데 실제로 잎을 보면 세로맥이 뚜렷하고 억센것이 대나무 잎이 생각나게 한다. 2024. 11.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