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224

뚜껑덩굴(박과) 국명 : 뚜껑덩굴 학명 : Actinostemma lobatum (Maxim.) Maxim. ex Franch. & Sav.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보물, 여인의 슬기 - 뚜껑덩굴 꽃말 -2024년 9월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구미시 공사장 인근의 하천에서 뚜껑덩굴을 만났다. 하천은 작은 시냇물?정도로 내부는 달뿌리풀, 가시박, 붓꽃, 개여뀌, 버드나무 등 시장판처럼 난장판인 곳이었다. 뚜껑덩굴은 박과의 덩굴성 한해살이풀로 도랑이나 물가 풀밭에서 볼 수 있는 친구이다. 뚜껑덩굴은 잎모양이 방패모양을 하고 있는것과 열매가 익으면 뚜껑처럼 열리는게 특징이다. 최근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에서 "뚜껑덩굴은 항생제 내성을 유발하는 미생물의 생물막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 2024. 11. 3.
서양등골나물(국화과) 국명 : 서양등골나물 학명 : Ageratina altissima (L.) R.M.King & H.Rob. 비고 : 귀화식물, 생태계교란 생물 망설임 - 서양등골나물 꽃말-2024년 10월 경기도 이천시 경기도 이천시에서 서양등골나물을 만났다. 서양등골나물은 과수원 내부 뿐만 아니라 인근의 아까시나무 숲 속에도 있었고 여기저기 많이 퍼져있었다. '사근초'라고도 불리는 서양등골나물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북아메리카 동부에서 우리나라로 귀화해온 것으로 추정되며, 서울 중심으로 경기도 부근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서양등골나물은 1978년 서울 남산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관상용으로 많이 심어 급속하게 확산되어 2022년 3월 7일에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서양등골나물의 침입외래식물 확산등급.. 2024. 11. 2.
붉은토끼풀(콩과) 국명 : 붉은토끼풀 학명 : Trifolium pratense L. 비고 : 외래식물, 귀화식물 근면, 진실, 풍요로운 사랑, 착하고 쾌활하다 - 붉은토끼풀 꽃말 - 2024년 8월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시의 어느 풀밭에서 붉은토끼풀을 만났다. 핑크핑크한 꽃을 활짝 피우고 있는 모습을 보니 예쁘다는 말만 나온다. 붉은토끼풀은 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유라시아, 북아프리카에서 우리나라로 귀화해온 친구이다. 우리나라로 건너온 시기는 1911년 이전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우리나라 많은 곳에서 볼 수 있다. 붉은토끼풀은 목초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들여왔는데 우리나라 야생으로 퍼지고 적응해서 살아가고 있다.붉은토끼풀의 침입외래식물 확산등급은 4등급(심각한확산,SS)에 속하며 분포면적은 우리나라 면적의 75~10.. 2024. 11. 1.
붉은서나물(국화과) 국명 : 붉은서나물 학명 : Erechtites hieraciifolius (L.) Raf. ex DC. 비고 : 외래식물, 귀화식물 강한 마음, 사족 - 붉은서나물 꽃말 - 2024년 9월 구미시의 어느산 임연부에 조성된 녹지에서 붉은서나물을 만났다. 최근들어 어딜가도 이 친구를 만나는 거 같은데 흐음...기분 탓인가 붉은서나물은 5단계로 나눈 외래식물의 확산등급에서 최고 등급인 5단계(광 분포종)에 해당하며 전국에서 볼 수 있는 친구이다. 이정도면 어딜가도 만나는게 기분탓은 아닐 듯하다.붉은서나물은 아메리카(열대)에서 건너온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인 외래식물이다. 산림임연부에서 주로 분포하는데 산림 내부로도 침입해서 살기도 한다. 그렇다고 산림에만 사는게 아니고 도심지에도 분포하니 딱히 서식환경을 가리지.. 2024. 10. 31.
사마귀풀(닭의장풀과) 국명 : 사마귀풀 학명 : Murdannia keisak (Hassk.) Hand.-Mazz.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짧은 사랑, 왕성한 생명력 - 사마귀풀 꽃말 - 2024년 9월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의 어느 논에서 사마귀풀을 만났다. 요상하게 나는 사마귀풀과 인연이 별로 없는 것처럼 사마귀풀과는 좀처럼 만나기가 힘들다. ㅠ 그러다 요번에 옛다! 만나준다! 하는 것처럼 꽃을 활짝 피우고는 빼꼼히 나를 보고 있었다. 사마귀풀은 닭의장풀과의 한해살이풀로 전국의 물가나 습지, 논에서 만날 수 있다. 사마귀풀을 닮은 우영사마귀풀이라는 친구가 있는데 이 친구는 제주도에서 발견되던 귀화식물인데 2023년에 우영사마귀풀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참고로 우영은 작은 텃밭이.. 2024. 10. 30.
자귀풀(콩과) 국명 : 자귀풀 학명 : Aeschynomene indica L.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부끄러움, 예민한 마음, 섬세함 - 자귀풀 꽃말 - 2024년 9월 경상북도 구미시 경상북도 구미에 있는 어느 잔디밭에서 자귀풀을 만났다. 자귀풀은 콩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이 친구를 만났을때 차암 딱 좋게 잎, 줄기, 꽃, 열매 모두 다 있었다. 표본으로 쓰기 딱~~좋은 상태 ㅎㅎ 하지만 나는 표본이 필요하지도 않고 잘살고 있는 녀석을 뽑고 싶지는 않지 후후 이 녀석은 너무 닮은 친구들이 있는데 바로 자귀나무, 차풀, 미모사가 그 친구들이다. 미모사는 한 곳에서 깃겹꼴잎이 손바닥 모양으로 한곳에 여러개가 붙어 있으며 전체에 잔털과 가시가 있다. 자귀나무는 잎이 2회 깃모.. 2024. 10. 29.
노랑어리연꽃(조름나물과) 국명 : 노랑어리연꽃 학명 : Nymphoides peltata (S.G.Gmel.) Kuntze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 수면의 요정, 청순, 순결, 평정, 신뢰 - 노랑어리연꽃 꽃말 -2024년 8월 경상북도 경주시 경주를 가로지리는 형산강 강가에서 노랑어리연꽃이 있었다. 노랑어리연꽃은 노란색 꽃을 피우는데 멀리서도 눈에 확 들어오는 친구이다. 노랑어리연꽃은 조름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햇볕이 잘드는 깊이가 얕은 강가에서 살고 있다. 노랑어리연꽃의 특징은 노란색 꽃의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는 것과 잎 뒷면이 갈색을 띤 보라색 빛이 돈다는 점이다. 노랑어리연꽃의 이름에 있는 '어리'라는 단어는 '작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즉 '연꽃을 닮은 노란색의 작은 꽃.. 2024. 10. 28.
뚝갈(인동과) 국명 : 뚝갈 학명 : Patrinia villosa (Thunb.) Juss.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야성미, 신중, 현명 - 뚝갈 꽃말 -2024년 9월 경상북도 포항시 2024. 10. 27.
붉은부리찌르레기 2024년 10월 대구광역시 대구 도심지 한복판에서 붉은부리찌르레기를 만났다. 근처에 저수지가 있어서 그런가 작은 하천이 흐르고 있어서 그런가 이 친구를 만나게 될 줄이야 ㅎㅎ 머리가 하얀 녀석이 날아가길래 뭔가하고 한참을 봤는데 좀처럼 나무 속에서 나오지 않았다. 그래도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린 결과 녀석의 모습을 찍을 수 있었는데 와우~~~너무너무 귀엽자나~~~~~ 완전 내 스타일 ㅎㅎ 이 맛에 탐조하시는 분들이 생기는 것인가 카메라라고는 핸드폰 밖에 없어서 핸드폰으로 촬영을 했는데 이럴때는 정말 dslr 들고 다니고 싶어진다. 2024. 10. 26.
애기며느리밥풀(현삼과) 국명 : 애기며느리밥풀 학명 : Melampyrum setaceum (Maxim. ex Palib.) Nakai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질투, 여인의 한 - 꽃며느리밥풀 꽃말 -2024년 8월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의 어느 산속 무너진 길 옆에서 애기며느리밥풀 친구를 만났다. 애기며느리밥풀은 반기생성 한해살이 식물로 전국 산속에서 자란다. 며느리밥풀 친구들로 꽃며느리밥풀, 털며느리밥풀, 알며느리밥풀, 수염며느리밥풀, 새며느리밥풀, 애기며느리밥풀 등이 있는데 이 중 포엽이 붉은색을 띠는 친구는 새며느리밥풀과 애기며느리밥풀이 있다. 새며느리밥풀과 애기며느리밥풀은 포엽의 색과 모양으로도 구분이 가능한데 새며느리밥풀은 포엽이 붉고 둥근 반면에 애기며느리밥풀은 포엽 윗.. 2024. 10. 20.
단풍취(국화과) 국명 : 단풍취 학명 : Ainsliaea acerifolia Sch.Bip.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순진, 감사 - 단풍취 꽃말 -2024년 8월 경상북도 포항시 포항의 어느 산속에서 단풍취를 만났다. 조금만 더 늦게 만났으면 꽃을 피운 모습을 볼 수 있었을텐데 아쉬운 감정이 들었다. 단풍취는 우리나라 전역 산속에서 볼 수 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단풍취'라는 이름은 '나물로 먹을 수 있는데 단풍나무 잎을 닮았다'고 해서 붙었다. 그덕에 취나물 종류 중에 쉽게 동정할 수 있는 친구이다. 2024. 10. 20.
작약(작약과) 국명 : 작약 학명 : Paeonia lactiflora Pall.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위기(EN)수줍음, 부끄러움, 교태 - 작약 꽃말 -2023년 5월 경상북도 문경시 문경의 어느 산에서 작약을 만났다. 산에서 작약을 볼 거라고는 생각지도 못했는데 꽃을 활짝 피우고 있는 작약을 만나니 너무나도 반가웠다. 대학시절 작약으로 발표를 했었다. 그때 작약에 대해 알아보다 작약에 대한 전설을 알게 되었는데 그 전설을 알고 작약을 보니 뭔가 더 애착심이 생겼다고 할까? 그래서 다른 분들도 작약에 대한 애틋한 마음이 생길까 그 전설을 간단하게 소개해보려 한다. "옛날 어느 왕국에 왕자와 공주가 살고 있었다. 그 둘은 서로를 너무 사랑했고 그렇기에 행복한 나날들이 이어졌다. 그.. 2024. 10. 19.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