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400

할미꽃(미나리아재비과) : Korean pasque-flower 국명 : 할미꽃영문명 : Korean pasque-flower 학명 : 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 ex T.Mori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슬픈 추억, 사랑의 굴레, 사랑의 배신, 청순한 마음, 말할 수 없는 사랑, 아무것도 바라지 않아요- 할미꽃 꽃말 - 2025. 3. 24.
직박구리(참새목 직박구리과) : Brown-eared bulbul 국명 : 직박구리영문명 : Brown-eared bulbul일본명 : ヒヨドリ학명 : Microscelis amaurotis내가 좋아하는 직박구리!천방지축 사고뭉치 너무 귀엽다. 2025. 3. 24.
굴참나무 수피(참나무과) : Oriental cork oak 국명 : 굴참나무영문명 : Oriental cork oak 일본명 : アベマキ학명 : Quercus variabilis Blume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번영- 굴참나무 꽃말 -두꺼운 코르츠층이 발달한 수피가 특징인 굴참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특히 한국에서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역에서 해발 50~1200m 지역에 걸쳐 자라는 친구이다.굴참나무는 햇볕을 좋아하는 양수이고 비교적 성장이 빠른 편으로 척박하고 건조한 토양에서도 잘 자라며, 다른 참나무류와 혼생하는 경우가 많다.남향 산허리 쪽의 약간 건조한 곳을 좋아하며, 수직적 분포로 보면 신갈나무보다는 낮은 표고에 분포하고, 상수리나무보다는 해발고가 .. 2025. 3. 24.
박새(참새목 박새과) : Great Tit 국명 : 박새영문명 : Great Tit일본명 : シジュウカラ학명 : Parus major Linnaeus옆에서 계속 재잘재잘 떠들다가 카메라 드니까바로 날아가버린 박새박새는 대표적인 산림성 조류이며 텃새로, 도시, 농경지, 산림 등 다양한 환경에서 1년 내내 관찰되며, 나무 구멍이나 건물 틈 등에 둥지를 틀고 번식한다.박새는 검은색 머리와 멱, 흰색 뺨과 뒷목이 특징이며, 곤충, 거미, 씨앗, 열매 등을 먹이로 삼고, 쌍 또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삐이- 삐이-'와 같은 다양한 소리를 낸다.박새는 날개에 흰색 띠가 있으며, 암수의 외형 차이가 크지 않다.참고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서산 천수만의새 2025. 3. 24.
진달래(진달래과) : Korean rhododendron 국명 : 진달래영문명 : Korean rhododendron일본명 : ゲンカイツツジ학명 :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사랑의 즐거움, 절제, 청렴- 진달래 꽃말 -진달래 먹고 물장구 치고 다람쥐 쫓던 어린 시절~~이렇게 사람들의 시나 노래 등에 등장하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친구 중 하나인 진달래는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이다.진달래는 봄이 산을 알록달록하게 만들어주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식생으로 중생식생(中生植生)이다. 진달래는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에서 만날 수 있으며, 해외로는 극동러시아, 중국, 일본, 내몽고 등에서 분포하고 있다. 진달래는 맹아력이 강하고 꽃이 잎보다 먼저 나는데 꽃과 잎이 함께.. 2025. 3. 23.
할미꽃(미나리아재비과) : Korean pasque-flower 국명 : 할미꽃영문명 : Korean pasque-flower 학명 : Pulsatilla koreana (Y.Yabe ex Nakai) Nakai ex T.Mori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슬픈 추억, 사랑의 굴레, 사랑의 배신, 청순한 마음, 말할 수 없는 사랑, 아무것도 바라지 않아요- 할미꽃 꽃말 -할미꽃은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각처의 산야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4월에 밑을 향해 피는 적자색 꽃이 특징이다.'할미꽃'은 흰털이 밀생하는 꽃은 밑을 향햐여 꼬부라져 피고꽃이 지고난 후의 종자는 노파의 백발을 연상되어서 '할미꽃'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되었다..전국적으로 흔하지만, 자생지외 보존과 경제작물로 이용하는 대량 증식을 통해 보호하는 것이 필요하며, 유사종.. 2025. 3. 23.
참새(참새목 참새과) : Eurasian Tree Sparrow 국명 : 참새영문명 : Eurasian Tree Sparrow일본명 : スズメ학명 : Passer montanus 2025. 3. 23.
서향(팥꽃나무과) : Winter daphne 국명 : 서향 영문명 : Winter daphne일본명 : ジンチョウゲ학명 : Daphne odora Thunb.비고 : 재배식물갑자기 생겨난 행운, 생각지도 못했던 사랑, 명예, 편애- 팥꽃나무 꽃말 -서향은 팥꽃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 관목으로 중국과 한국 남부 지방에서 식재되는 친구이다.서향은 상록성의 진한 녹색 잎과 봄철에 피는 홍자색 꽃이 특징인데 서향의 꽃은 향기가 좋아서 나무 이름도 서향 또는 천리향이라 한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3. 23.
백선(운향과) : Dense-fruit dittany 국명 : 백선영문명 : Dense-fruit dittany 일본명 : ハクセン학명 : Dictamnus dasycarpus Turcz.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방어, 넘치는 생각- 백선 꽃말 -백선은 운향과에 속하는 숙근성 여러해살이풀로, 만주, 중국, 동부 시베리아 및 한국 전국의 산지 해발 800m 이하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키가 낮은 잡목들과 함께 자생하는 친구이다.참고로 속명 Dictamnus는 고대 희랍명으로 dicte(산에서)란 뜻으로 이 식물의 생육지가 산임을 나타내고, 종명은 열매에 거센 털이 있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백선은 관화식물로의 가치가 있을 수준의 꽃과 'gas plant'라고 불릴 정도로 백선 꽃차례와 꽃자루에는 방향성 정유를 분출하는 .. 2025. 3. 22.
병꽃나무(인동과) : Korean weigela 국명 : 병꽃나무영문명 : Korean weigela 일본명 : コウライヤブウツギ학명 : 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비고 : 특산식물,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우아- 병꽃나무 꽃말 -병꽃나무는 인동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최대 3m까지 자라며, 오래된 줄기는 짙은 회갈색이고 길이 방향으로 갈라진 굵은 주름이 있는 것이 특징인 친구이다.병꽃나무는 한국 특산식물로 경기, 강원, 충북 등 전국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3. 22.
방울새(참새목 되새과) : Oriental Greenfinch 국명 : 방울새영문명 : Oriental Greenfinch일본명 : カワラヒワ학명 : Carduelis sinica 방울새는 참새목 되새과에 속하는 친구로 주로 평지와 낮은 언덕 또는 농촌과 주변의 낮은 산에서 서식하며, 주로 식물성 먹이를 섭취하나 곤충류를 먹기도 한다.방울새는 번식 후에는 수십 마리에서 수백 마리에 이르는 큰 무리를 형성한다. 방울새는 나무의 가지 위에 나무껍질, 종이, 이끼류 등을 엮어서 밥그릇 모양으로 둥지를 만들며 4월 중순~8월 초순에 2~5개의 알을 산란한다.번식기에는 수컷이 높은 나뭇가지에 앉아 목을 좌우로 흔들면서 '키리 키리'하는 소리를 낸다.방울새의 외형적 특징- 일반적 특징- 수컷은 머리에서 등까지 잿빛 황갈색을 띤다.- 턱밑과 턱 아래 부위는 어두운 올리브 황색이.. 2025. 3. 22.
털여뀌(마디풀과) : Princess-feather 국명 : 털여뀌영문명 : Princess-feather일본명 : Ohoketade학명 : Persicaria orientalis (L.) Spach비고 : 귀화식물 평정, 배려, 웅변- 털여뀌 꽃말 -털여뀌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1년생 외래식물로 줄기에는 긴 털이 밀생하는 것이 특징이다.털여뀌의 원산지는 중국으로 개항 이후 1921년 관상용으로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국내에서는 하천변 등에서 발견된다.북아메리카, 유럽, 아시아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국립생태원 외래생물 정보시스템에 따르면 2024년 유입주의 생물로 지정되었다.□ 특징(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참고자료국립생태원 외래생물 정보시스템,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3. 22.
개나리(물푸레나무과) : Gaenari 국명 : 개나리 영문명 : Gaenari 일본명 : チョウセンレンギョウ 학명 :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비고 : 특산식물,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희망, 깊은 정, 조춘의 감격, 달성, 기대, 집중력- 개나리 꽃말 -개나리는 우리나라 특산식물로 음지와 양지 모두에서 잘 자라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평안남도 이남 전역에 식재되는 친구이다.개나리는 3~4월에 밝은 노란색 꽃이 피는 대표적인 봄꽃이다.참고로 개나리라는 이름은 나리꽃과 비슷한데 나리꽃이 아니라는 의미로 '개'자가 붙은 개나리가 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설이다.번식은 주로 삽목으로 하는데 봄 3월 하순경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개나리와 유사한 종으로는 만리화.. 2025. 3. 21.
겨울의 박주가리(협죽도과) : Rough potato 국명 : 박주가리영문명 : Rough potato 일본명 : カガイモ학명 :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먼 여행, 청아한 기도, 멋이 깊다- 박주가리 꽃말 -박주가리의 겨울 모습은 열매가 갈라져 내부에 있는 흰색 실 같은 것이 날리는 모습이다.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3. 21.
산수유(층층나무과) : Korean cornelian dogwood 국명 : 산수유영문명 : Korean cornelian dogwood 일본명 : サンシュユ학명 :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비고 : 재배식물지속, 불변, 영원, 불변의사랑- 산수유 꽃말 -봄이 왔음을 알려주는 봄의 정령 중 하나인 산수유산수유 꽃은 암수한꽃으로 3 ~ 4월 잎보다 먼저 개화하고 노란색이며 우산모양꽃차례에 20 ~ 30개의 꽃이 달린다.참고자료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모야모 2025. 3. 2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