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화과34

머위(국화과) 국명 :머위 학명 : Petasites japonicus (Siebold & Zucc.) Maxim.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기준 평가 : 약관심(LC)공평 - 머위 꽃말 - 2024. 9. 5.
삽주(국화과) 국명 : 삽주 학명 : Atractylodes ovata (Thunb.) DC.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약관심(LC)무병장수, 며느리사랑, 친근 -삽주 꽃말-산속을 다니다보면 뾰족뾰족 톱니로 시선을 사로잡는 친구가 있다. 전국 각지와 중국, 일본, 만주에 분포하고 있는 이 친구의 이름은 국화과 여러해살이풀인 "삽주"이다. □ 이름유래 삽주의 이름의 유래는 정확하게 밝혀진바가 없는 듯하다. 조민제 변호사님의 칼럼 중 삽주의 이름유래를 추적한 글이 있는데 거기에서 삽주는 약용 및 식용하는 뿌리가 따로 이용되는데 그 뿌리 모양이 털처럼 생긴 식물(나물)이라는 뜻을 가졌다고 한다. (출처 - https://www.thecolumnist.kr/news/articleView.html?idxno=.. 2024. 8. 25.
단풍잎돼지풀(국화과) 국명 : 단풍잎돼지풍학명 : Ambrosia trifida L.비고 : 생태계교란 생물, 외래식물, 귀화식물행복한 연애, 재결합-단풍잎돼지풀 꽃말-북미에서 귀화해 빠른 속도로 우리나라 전역으로 퍼져나가는 녀석이 있다.그 녀석의 정체는 생태계교란 생물로 지정된 국화과의 한해살이풀인 "단풍잎돼지풀"이다.생태계교란 생물이란 다음에 설명하는 항목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생물로 제21조의2제1항에 따른 위해성평가 결과 생태계 등에 미치는 위해가 큰 것으로 판단되어 환경부 장관이 지정 · 고시한다. 1. 유입주의 생물 및 외래생물 중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2. 유입주의 생물이나 외래생물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생물 중 특정 지역에서 생태계의 균형을 교란하거나 교란할 우려가 있는 생물※ .. 2024. 7. 7.
엉겅퀴(국화과) 국명 : 엉겅퀴 학명 : Cirsium japonicum Fisch. ex DC. var. maackii (Maxim.) Matsum.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약관심(LC)독립, 고독한 사람, 근엄, 건드리지마, 순진함 -엉겅퀴 꽃말-해가 잘드는 풀숲이나 들판에서 자주색 꽃을 피우는 친구가 있다. 잎에 뾰족한 가시가 매력포인트인 이 친구의 이름은 "엉겅퀴"로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에 있는 뾰족한 가시가 "건드리지마"라는 꽃말과 아주 찰떡궁합이다. "엉겅퀴"는 스코틀랜드의 국화로 유명한 식물인데 옛날에 바이킹의 척후병이 스코틀랜드에 침입했을때 성 밑에 있던 엉겅퀴가시에 찔려서 비명을 지르는 바람에 성내의 병사들이 깨어나 바이킹을 물리칠 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엉겅퀴"는 구국.. 2024. 6. 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