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특징61 타래난초(난초과) 국명 : 타래난초 학명 : Spiranthes sinensis (Pers.) Ames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약관심(LC)추억, 소녀 -타래난초 꽃말-전국 각지의 산야나 잔디밭, 논둑 근처에서 흔히 자라며 산속 햇빛이 잘 드는 무덤 인근에서 자주 보이는 친구가 있다. 무덤가에서 자주 보이다 보니 "망자의꽃", "번뇌의꽃"이라고도 불리는 이 친구는 바로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타래난초이다. "망자의 꽃"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꽈배기처럼 꼬인 이 모습이 타래(꽈배기)처럼 꼬인 한을 풀어내는데 망자가 108 번뇌를 다 풀어내면 저승으로 간다는 설이 있다고 한다. 여기서 재밌는 게 타래난초은 한 해에 30~40개의 꽃을 피우는데 1개의 꽃이 필 때마다 하나의 번뇌를 풀어낸다고 한다. 3년 동안.. 2024. 7. 21. 배풍등(가지과) 국명 : 배풍등 학명 : Solanum lyratum Thunb.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약관심(LC)참을 수 없어 ,기대 -배풍등 꽃말-산이나 가끔 정원에서도 보이는 친구가 있다. 흰 털이 복슬복슬난게 털보 같은 이 녀석은 가지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성 식물인 "배풍등"이다. 오늘 "배풍등"이 꽃을 피웠다. 배풍등의 꽃은 전형적인 가지과 식물의 꽃처럼 생겼다. "배풍등"은 "왕배풍등", "좁은잎배풍등"이라는 사촌이 있는데 "왕배풍등"은 제주도에 자생하며, 잎이 갈라지지 않고 줄기에 털이 없다. "좁은잎배풍등"은 연한 자색 꽃을 피운다. "배풍등"은 독성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 이름 유래 "배풍등"이라는 이름은 "풍을 막아주는 식물"이라는 뜻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 배풍등 잎 .. 2024. 7. 20. 큰달맞이꽃(바늘꽃과) : Large-flowered Evening-primrose 국명 : 큰달맞이꽃영문명 : Large-flowered Evening-primrose 일본명 : オオマッョイグサ학명 : Oenothera glazioviana Micheli 비고: 귀화식물, 외래식물말 없는 사랑, 기다림, 소원- 큰달맞이꽃 꽃말 -해가 지고 달이 뜰 무렵에 꽃을 피우고 달이 지고 해가 뜰 무렵에 꽃이 지는 친구가 있다.달이 뜰 무렵에 꽃을 피워 반갑게 달을 맞이 하는 친구의 정체는 바로 바늘꽃과의 월년생식물인 "큰달맞이꽃"이다."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은 들어봤을텐데 "큰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은 처음 들어보는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큰달맞이꽃"은 이름 그대로 달맞이꽃을 닮았는데 덩치가 큰 친구이다.참고로 "달맞이꽃"이라는 친구는 우리나라가 일본으로부터 해방될 때 우리나라로 유입이 되어서 "해.. 2024. 7. 18. 말오줌때(고추나무과) 국명 : 말오줌때학명 : 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약관심(LC)열심, 한가지 재주가 뛰어나다-말오줌때 꽃말-식물이름 중에는 "계요등", "노루오줌", "쥐오줌풀" 등 오줌이 들어간 것들이 있다.이런 이름을 가진 친구들은 공통점이 "오줌냄새"를 풍긴다는 점이다.이런 친구들처럼 오줌냄새를 풍기는 한 친구가 있는데이 친구는 바로 나도딱총나무, 칠선채나무 등으로 불리기도 하는 고추과의 낙엽활엽관목인 "말오줌때"이다.우리나라에서는 황해도 해안이나 전라남도, 경상남도 등에 분포하며, 베트남, 중국, 일본에도 분포한다.식물도감을 읽으며 식물 공부를 하고 있었을때 이름이 특이해서 기억이 남았었는데 어제 24년 7월 13일에 만나게 되었다.".. 2024. 7. 14. 오구나무(대극과) 잎 국명 : 오구나무 학명 : Triadica sebifera (L.) Small 비고 : 재배식물등불, 진심, 마음이 통하다 -오구나무 꽃말-사진이 이거 밖에 없어서 간단하게 적도록 하겠다 ㅎㅎ (더찍어올걸) 사실 대충 보고 찍은거라 처음엔 수수꽃다리인 줄 알았다. 오구나무의 잎은 어긋나기(호생)하고 약간 두껍다. 길이 3-6cm의 삼각상 능형으로 예첨두, 절저고 끝이 길게 뾰족해지며,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엽병(잎자루)은 길고 상단에 2개의 선점이 있다. 잎뒷면은 담녹백색이다. 내가 헷갈렷던 수수꽃다리와의 차이점을 간단하게 설명해주면 수수꽃다리 잎은 대생(마주나기)하는데 오구나무 잎은 호생(어긋나구)한다. 또 오구나무의 잎자루 상단에 선점이 있다는 것이 차이점이라 할 수 있겠다. 잘안보이지만...저렇게 있.. 2024. 7. 11. 장대냉이(십자화과) 국명 : 장대냉이 학명 : Berteroella maximowiczii (Palib.) O.E.Schulz 비고 : 한국 국가적색목록(Redlist) 약관심(LC)"장대냉이"는 십자화과의 1년생초본식물로 전국 각지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만날 수 있는 친구이다. 은은하게 핑크핑크한게 이뻐서 시선을 잡아끄는 것 같다. 이 친구는 꽃말도 이름유래도 찾지 못했다...(내가 못찾은 거 일수도) 그래서 킹버들 내가 꽃말을 지어보고 이름유래를 추측해보았다. 장대냉이의 꽃말 : 그리움, 순정, 동심 내가 이러한 꽃말을 지은 이유는 음...그냥 장대냉이의 꽃을 보고 있으니 은은한 분홍색의 꽃이 떼묻지 않은 순수한 동심, 순정 그리고 그 시절에 대한 그리움이 떠올라서이다. □ 이름유래 추측 화서가 냉이와 같은 총상꽃차례를 .. 2024. 7. 8. 이전 1 ··· 6 7 8 9 10 11 다음 반응형